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유아과학창의성 관련 내용분석

이용수 293

영문명
Analysis of the contents related to early childhood scientific creativity in post-modern picture books
발행기관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저자명
김경은(Kyung-Eun Kim) 조부경(Boo-Kyung Cho)
간행물 정보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8권 8호, 597~605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대과학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정치·사회·문화 패러다임의 급속한 변화로 필요한 지식기반 자체가 변화함에 따라 과학교육에서도 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분석적 사고를 통해 새롭고 적절한 것을 찾아낼 수 있도록 과학창의성 함양에 주력하고 있다. 과학창의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기존 사고를 벗어난 상상력은 필수적이며, 시각적 은유와 이미지 사용이 필요하다. 한편 포스트모던 그림책은 모더니즘의 한계를 초월하고 극복하고자 하는 특징을 내포하고 있는 그림책으로서, 기존사고의 재구성을 유발한다. 특히 패러디, 비선형성, 다중성, 아이러니와 같은 특징들로 유아에게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상상력을 발현시키는 매체로서, 과학창의성과의 관련성을 가름해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포스트모던 그림책에 포함된 유아과학창의성관련 내용을 세부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내용분석을 위한 그림책 선정은 두 단계로 이루어졌다. 먼저 포스트모던 그림책 관련 선행연구 62편에서 분석대상으로 삼았던 그림책 166권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이중에서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토대로 구성한 ‘유아과학창의분석기준’에 따라 3영역별 최소 1개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고 분석된 29권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29권의 그림책을 대상으로 양적, 질적 분석이 이루어졌다. 양적분석으로는 유아과학창의영역 세부요소의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질적 분석은 내용분석으로서, 연구자가 각 그림책을 읽으면서 유아과학창의와 관련된다고 판단되는 내용을 자세히 기술한 뒤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특징적인 부분을 범주화하였다. 분석 결과 포스트모던그림책에는 6가지의 과학창의요소가 포함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24.14%) 영역별로 산출요소에서는 과학적 지식(42.86%)이, 특성요소에서는 유창성(38.46%)이, 과정요소에서는 사고력(60.47%)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포스트모던 그림책에서는 직접 글을 통하여 과학창의요소를 나타내는 것에 더하여 그림을 통한 직, 간접적인 방식으로 과학창의요소를 드러내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과학적 지식에서는 유창성과 사고력이, 과학적 현상과 과학적 문제해결 그림책에서는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사고력, 상상력이 복합적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기관에서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활용하여 유아과학창의활동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In response to the change of knowledge base itself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rapid change of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paradigm, science education also focuses on cultivating scientific creativity so that learners can find what are new and appropriate through analytic thinking based on scientific knowledge. To have scientific creativity, imagination out of the box is essential, and the use of visual metaphors and image is necessary. On the other hand, the post-modern picture book is intended to transcends and overcome the limits of modernism. Especially, with its characteristics such as parody, nonlinearity, multiplicity, and irony, it, as a medium, presents new perspectives to young children and induce them to exercise their imagination, indicating its relevance to scientific creativity.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contents related to scientific creativity in the post-modern picture books us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picture books to be used for analysis of contents were selected in two stages. First, 166 picture books used in 62 previous studies were selected. Next. 29 picture books analyzed to include at least more than 1 element for 3 respective areas according to ‘Criteria for Analysis of Early Childhood Scientific Creativity’ were selected. The 29 selected picture books were analyzed both qualitatively and qualitatively.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sub-elements of the area of early childhood scientific creativity were calculated.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researcher described the content which wa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early childhood scientific creativity and read it repeatedly to categorize the characteristic parts.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ost-modern picture book included 6 elements of scientific creativity (24.14%) in most cases. And ‘scientific knowledge’ (42.68%), ‘fluency’ (38.46%), ‘thinking power’ (60.47%) appeared most frequently in the element of output, the element of characteristics, and the element of process element, respectively. In the post-modern picture book, in addition to representing the element of scientific creativity through direct writings, the element of scientific creativity was revealed in a direct and indirect manner through pictures. Specifically, ‘fluency’ and ‘thinking power’, ‘fluency and flexibility’, ‘originality’, ‘thinking power’ and ‘imagination’ appeared in a complex manner in the scientific knowledge; and in the picture book of ‘scientific phenomena’ and ‘scientific problem-solving’,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ctivities for early childhood scientific creativity can be diversified by the use of post-modern picture book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Picture book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은(Kyung-Eun Kim),조부경(Boo-Kyung Cho). (2018).포스트모던 그림책의 유아과학창의성 관련 내용분석.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 (8), 597-605

MLA

김경은(Kyung-Eun Kim),조부경(Boo-Kyung Cho).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유아과학창의성 관련 내용분석."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8(2018): 597-6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