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묵(墨)과 오채(五彩)론을 통한 수묵표현 연구

이용수 122

영문명
A Study of the Expression of Ink and Wash Painting through the Idea of Mook and Oche(Black and Five Colors)
발행기관
한국조형교육학회
저자명
이주원
간행물 정보
『조형교육』제49호, 309~32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1.0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동양 전통회화의 대표적 조형요소인 묵(墨)과 오채(五彩)를 고찰하고, 그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전통적으로 묵의 색은 모든 색의 상징인 오채를 담고 있다는 조형의식에 기반을 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색들의 조형적 종합체로써 묵의 형성과정을 전개하였다. 먼저 묵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묵이 전개된 시대적, 사상적 흐름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동양 의 조형미학적 사유에서 묵과 오채의 연관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다음으로는 묵 속에 오채가 반영되어 있다는 것에 기초하여 만물의 색을 의미하는 오채에 관 해 고찰하였다. 이에 오채와 관련된 음양오행사상(陰陽五行思想)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오행사 상에 대한 의미와 오채로의 시대적 발전과정을 검토하여 문헌에 나타난 오채를 조사하였다. 묵과 오채의 연관성을 알아본 후에, 수묵(水墨)의 해석에 대하여는 주로 육조시대부터 당(唐), 북송(北宋)대까지의 화론들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하여 다양한 묵의 용법들이 오채의 의미를 잠재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묵의 색 속에는 만물의 색들이 잠재되어 표현되었던 점을 인식할 수 있다. 이것은 동양의 전통적인 수묵화가 가지고 있는 상징적 조형요소이다. 동양의 전통회화 에서 묵의 색은 한 가지의 검정색이 아닌, 변화하는 자연을 반영하는 색이다. 이에 본 연구는 수묵에 대하여 변화하는 다색조의 조형해석에 관한 교육적 의미를 제시한다.

영문 초록

In consideration of the artistic understanding of the Oriental art, I conduct the analysis of the Black Ink and the Five Colors in the understanding of that Black Ink supposed to embrace the Five Colors that symbolize all of the colors. Also I research about the Five Colors that appeared in literature in the meaning of the Five Elements and the development progress into the Five Color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 to the Black Ink, I analyze the philosophy and artistic quality of the Orient’s traditional Ink and Wash Painting. Recognizing the genuine start of Ink and Wash Painting in the historical matter, I research through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it. From the times when the Black Ink was produced as to represent total colors to the times of Six State Era [229-589], when the Black Ink was used for writing and painting, the recordings are examined from the theories of occidental art. Through the formation of the Black Ink, I look into the time period and philosophical changes when the Black Ink was introduced. In the study of the Five Colors that represent all of the colors in the world, I first study about the Five Direction Colors that derived from Yin-Yan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that existed from the ancient times. In the modern culture where visual images are majored, I tried to study the meaning of Ink and Wash Painting in the use of modernized transformation and suggest the possibilities. This research has the implications for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the sense that it broadens the understanding of the Black Ink and the Five Colors by revisiting its aesthetic significanc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주원. (2014).묵(墨)과 오채(五彩)론을 통한 수묵표현 연구. 조형교육, (49), 309-327

MLA

이주원. "묵(墨)과 오채(五彩)론을 통한 수묵표현 연구." 조형교육, .49(2014): 309-3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