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백서 해마에서 카이닌산에 의한 조기유전자의 발현과 p42, p44 MAPK 및 Elk-1 인산화의 발달 단계에 따른 변화
이용수 0
- 영문명
- The Induction of Immediate Early Genes and Phosphorylation of p42, p44 MAPK and Elk-1by Kainic Acid in Developing Rat Hippocampus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정희연 김수진 김종흔 정선주 박주배 김용식 조수철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38권 제4호, 894~903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어린 백서에게 카이닌산(kainic acid, KA)을 주사하여 발작을 일으킨 후, 해마에서 조기유전자 -c-fos,
junB, 및 TIS1의 발현 유도 양상을 발달 단계별로 조사하여 전기경련충격(electroconvulsive shock, ECS)
에서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백서 뇌 신호전달계의 성숙과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KA 주사후 p42,
p44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MAPK)의 인산화 및 그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으로 알려진 전사인
자 Elk-1의 인산화를 관찰하여, KA 주사후 MAPK 신호전달계를 통한 c-fos의 발현 경로를 발달 단계별
로 밝히고자 하였다.
방 법:
생후 7, 14 21일 된 수컷 백서에서 KA를 복강내 주사한 후, 백서 해마에서 조기유전자의 발현 양상은 northern
blot analysis로, p42, p44 MAPK와 Elk-1의 인산화는 immunoblotting으로 관찰하였다.
결 론:
생후 7일된 백서의 해마에서는 ECS와는 달리, KA에 의한 세 가지 조기유전자의 발현이 관찰되지 않았다. 그
러나 생후 14일부터 이들 조기유전자의 뚜렷한 발현을 관찰할 수 있었고 생후 21일에는 성숙한 백서와 같은
수준의 발현 양상을 볼 수 있었다. 세 가지 유전자 모두 백서의 연령과 KA 주사 후 시간에 따른 발현 유도
양상은 비슷하였다. p42, p44 MAPK는 생후 7일부터 상당한 수준의 기저치 인산화가 관찰되었으나, KA에 의
한 인산화 증가는 생후 14일부터 관찰되었다. Elk-1의 인산화 역시 생후 7일부터 높은 수준으로 관찰되었
으나 KA 주사 후 시간에 따른 Elk-1 인산화의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결 론:
ECS와 KA가 조기유전자 발현 양상에 차이를 보이는 것은 이들 유전자의 발현과 관련되어 활성화되는 신
호전달경로의 차이 때문으로 생각된다. 백서 해마에서 KA에 의한 MAPK 활성화에 관여하는 신호전달 기구
는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점차 성숙하고, MAPK의 활성화로 전달된 신호는 Elk-1 이외의 다른 경로를 통
해 c-fos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In order to investigate the maturational process of intracellular signal transduction system
in rat brain, we studied the induction of the immediate early genes(IEGs)-c-fos, junB, and TIS1 in
each developmental stage after kainic acid(KA)-induced seizure in young rat hippocampus and then
compared these with the results after electroconvulsive shock(ECS). And to elucidate the induction mechanism
of c-fos via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MAPK) by KA in each developmental stage,
we investigated the phosphorylation of p42, p44 MAPK and Elk-1 after KA treatment in young rat
hippocampus.
Methods:We examined the induction patterns of IEGs by northern blot analysis, and the phosphorylation
of p42, p44 MAPK and Elk-1 by immunoblotting in rat hippocampus at post-natal day 7, 14,
and 21(P7, P14 & P21), respectively after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KA.
Results:Unlike ECS, KA did not induce c-fos, junB, and TIS1 in P7 hippocampus. But these genes
were apparently induced at P14 and to an adult level at P21. These three IEGs showed similar temporal
patterns of induction in each developmental stage. Although the basal level of phosphorylated 42p,
44p MAPK was considerable in P7 rat hippocampus, the increase of phosphorylation after KA treatment
was observed at P14 . While the phosphorylation of Elk-1 was detected with high basal level in P7 rat,
the amount of phosphorylated Elk-1 was not changed after KA treatment.
Conclusion:Our results suggest that the differences in IEGs induction patterns between KA and
ECS may be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activated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And our results also
implicate that the signal transduction system involved in MAPK phosphorylation after KA treatment
mature with aging and c-fos induction via MAPK activation may be regulated through some pathways
other than Elk-1 in rat hippocampus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비행청소년의 취중상태와 범죄행동 양상간의 관계
- 정신병적 증상을 동반한 기면병 1례
- 남성 신경성 대식증 환자의 인지 행동 치료 1례
- Tyrosine Hydroxylase 유전자의 다형성과 알코올의존과의 연관 연구
- 장기간 Risperidone 투여후 지연성으로 발생한 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1례
- Dopamine Transporter Gene의 다형성과 알코올 의존증의 관련
- 백서 해마에서 카이닌산에 의한 조기유전자의 발현과 p42, p44 MAPK 및 Elk-1 인산화의 발달 단계에 따른 변화
- 정신과 전문의 수급추계
- 도파민 D3 수용체 유전자변이와 지연성 운동장애
- 순환교대근무와 주간고정근무 간호사의 수면양상, 직무만족 및 삶의 질
- 한국판 신체변형장애 척도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 조증환자의 약물 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장기입원 만성정신질환자의 실태에 관한 조사
-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대한 인지행동 집단치료의 효과 - 폭력 행동을 중심으로 -
- 정신분열병과 Tyrosine Hydroxylse 유전자 HUMTH01-VNTR 다형성 좌위의 연합연구
- 농촌지역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와 학습장애의 역학적 연구
- 기혼여성 우울증환자의 결혼만족도와 역기능적 태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Haloperidol이 99m-Tc-ECD SPECT로 측정한 국소뇌혈류량에 미치는 영향
- 백서 뇌 별아교세포에서 LipopolysaccharideI에 의한 Nitric Oxide 생성기전
- 기능성 위장관장애 환자의 자율신경계기능과 음-양(陰陽) 체질 특성에 관한 연구
- 대체의학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인들의 심리사회적 특성
- 한국판 청소년 상태-특성 분노표현척도의 표준화 연구
- 흰쥐 해마에서 경련에 의해 발현 유도된 MKP-1에 의한 MAPK 활성 조절
- 허리 통증 환자의 MMPI 반응 특성
- Triple X 증후군(47, XXX) 환자에서의 강박장애 1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