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I 윤리에 대한 예비 영양교사의 인식: A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Prospective Nutrition Teachers' Perceptions of AI Ethic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선미(Sunmi Park)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2호, 255~27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AI 교육이 강화된 상황에서 예비 영양교사들의 AI 윤리 인식에 대한 탐색을 통해 교육 현장에서 AI를 윤리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교육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수도권 소재 교육대학원에서 영양교육 전공으로 재학 중인 예비 영양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영양교사들은 AI 기술의 발전이 사회적 약자에게 불리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며, 자원의 불균형과 디지털 소외계층을 방지하기 위한 교육과 인프라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AI는 교사의 역할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보조 도구로 활용되어야 하며, 교사는 AI의 결과를 기반으로 정서적 지지와 윤리적 가치를 전달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AI를 활용한 다양한 교육 방안을 제안하며, 학생들이 건강 정보를 기반으로 식습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또한 AI 교육의 통합적 접근과 윤리 인식 향상을 통해 AI와 교사의 협력 모델을 개발하고, 비판적 사고 및 윤리 교육을 강화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방향성은 예비 영양교사들이 AI를 통해 교육의 질을 높이고 학생들의 건강한 식습관을 유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laying the foundation for education to ethically utilize AI in the educational field through the exploration of AI ethics awareness of prospective nutrition teachers in a situation where AI education has been strengthened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10 prospective nutrition teachers who are enrolled as nutrition education major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s a result of the study, prospective nutrition teachers expressed concern that the development of AI technology may be disadvantageous to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and emphasized the need to strengthen education and infrastructure to prevent resource imbalance and digital exclusion. It was recognized that AI should not be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role of teachers, but as an auxiliary tool, and that teachers should convey emotional support and ethical values based on AI results. In addition, various educational measures using AI were proposed, and ways to help students improve their eating habits based on health information were sought. It also raised the need to develop a cooperative model between AI and teachers through an integrated approach to AI education and improve ethical awareness, and to strengthen critical thinking and ethics education. This direction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inducing healthy eating habits for students through AI by prospective nutrition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AI 윤리 교육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열린교육연구 제33권 제2호 목차
- 타문화 연구 현장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연구
- 외국인 유학생 대상 비교과교육과정이 한국어 전공역량에 미치는 영향 : C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 MZ세대 부모의 영유아교육기관 이용경험과 선호경향 - 어린이집 중심으로
- K-culture 기반 협력 프로젝트에서 학습자의 인식과 경험: 한국인과 외국인 학습자의 협력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 미래교육 설계에서 철학상담의 역할과 비전
- 생성형 AI 시대 지식정보처리역량 교육의 방향 탐색
- 온·오프라인 학습 경험에 따른 대학생의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인지적 학습참여, 학습성과의 다집단 경로분석
- 국제바칼로레아 DP 과정과 대학입시제도 연계에 대한 영국, 일본 간 비교
- 중등 사회과 남교사들의성평등교육 실천: 의미와 딜레마
- 관점 확장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연구 : 이상적 역할채택에 대한 하버마스의 논의를 중심으로
- 문제 해결 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 융합형 교수 모델 개발: 고등학교 국어과·사회과 연계 탐구 기반 토론 모형을 중심으로
- AI 윤리에 대한 예비 영양교사의 인식: A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플라톤의 「법률」에 나타난 시가 교육의 재해석: 법치와 관련하여
- 유치원 교사의 수업 관련 직무특성이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몰입의 매개효과
- 유아교육기관의 자유놀이에서 놀이선호의 본질과 의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