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제 해결 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 융합형 교수 모델 개발: 고등학교 국어과·사회과 연계 탐구 기반 토론 모형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Development of a Subject-Integrated Teaching Model for Enhancing Problem-Solving Competency: Focusing on an Inquiry-based Debate Model in Connection with Korean Language and Social Studies Courses in High School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황예인(Yaein Hwang) 하준호(Joonho Ha) 김용민(Yongmin Kim)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2호, 201~22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어과와 사회과의 연계 교육을 통해 문제 해결 역량을 효과적으로 함양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토론이 학습자의 문제 해결 역량 함양에 기여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교과 융합형 토론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국어과에서는 토론 관련 성취기준과 교육 내용을 바탕으로 교사가 논리성과 합리성, 말하기의 적절성 등을 지도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사회과는 사회과학의 원리와 교과 내용에 기반해 심층적인 탐구 학습으로 진행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국어과와 사회과의 이와 같은 강점을 융합하여 교과 융합형 교수 모델로서 탐구 기반 토론 모형을 만들었다. 탐구 기반 토론 모형은 기존 반대신문식 토론 모형을 개선하여 탐구 과정 및 공감적 이해 과정을 강화하였다.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탐구 기반 토론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교수기법에 따른 분석에서 탐구 기반 토론 학습을 적용한 실험 집단에서 문제 해결력과 공감적 이해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탐구 기반 토론 학습으로 수업한 실험 집단이 강의식 수업을 한 비교 집단보다 문제 해결력과 공감적 이해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odel that effectively enhances problem-solving competency through the integration of Korean language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Specifically, the study seeks to develop a subject-integrated debate model, based on the judgment that debates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tudents’ problem-solving competency. In regards to Korean language courses, teachers can guide students in logical reasoning, rationality, and appropriate speaking based on debate-related achievement standards and educational content. While in social studies, there is an advantage in conducting in-depth inquiry learning based on the principles and content of social sciences. By integrating the strengths of Korean language and social studies subjects, the study created an inquiry-based debate model as a subject-integrated teaching model. The inquiry-based debate model improves upon the traditional cross-examination debate model, strengthening the inquiry process and empathetic understanding. When the inquiry-based debate model was applied to high school studen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engaged in inquiry-based debate learn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problem-solving competency and empathetic understandin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lecture-based instruction. Furthermore,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levels of problem-solving competency and empathetic understanding than the control group.

목차

Ⅰ. 서 론
Ⅱ. 교수 모델 개발의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결과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예인(Yaein Hwang),하준호(Joonho Ha),김용민(Yongmin Kim). (2025).문제 해결 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 융합형 교수 모델 개발: 고등학교 국어과·사회과 연계 탐구 기반 토론 모형을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33 (2), 201-224

MLA

황예인(Yaein Hwang),하준호(Joonho Ha),김용민(Yongmin Kim). "문제 해결 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 융합형 교수 모델 개발: 고등학교 국어과·사회과 연계 탐구 기반 토론 모형을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33.2(2025): 201-2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