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온·오프라인 학습 경험에 따른 대학생의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인지적 학습참여, 학습성과의 다집단 경로분석

이용수 0

영문명
Differences in University Students'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Cognitive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Based on Online Class Experiences: A Multi-Group Path Analysis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민지식(Jisik Min) 강민지(Minji Kang) 고귀영(Gwiyoung Ko)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2호, 71~9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수-학생 상호작용, 인지적 학습참여, 학습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온·오프라인 수업 형태에 따라 이러한 경로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KEDI)에서 시행한 2023년 NASEL 자료를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연구모형에 따른 변인 간 직접효과를 확인한 결과 모든 경로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인지적 학습참여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인지적 학습참여를 매개로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온·오프라인 집단 간 경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온라인 집단에서는 인지적 학습참여가 학습성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오프라인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온·오프라인 학습 환경에 적합한 교수법과 상호작용 전략을 개발할 필요성을 제기하며, 후속 연구에서 맞춤형 학습 지원 방안을 모색할 필요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cognitive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to examine how these pathways differ depending on the format of classes, whether online or offline. The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2023 NASEL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f the direct effects among variables based on the research model revealed significant impacts across all pathways, with the direct effect of cognitive engagement on learning outcomes being the most substantial. Second, an analysis of the indirect effects showed that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learning outcomes through the mediation of cognitive engagement. Third, a comparison of pathway differences between online and offline groups indicated that the pathway from cognitive engagement to learning outcomes had a significantly greater impact in the online group than in the offline group.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cessity of developing teaching methods and interaction strategies tailored to online and offline learning environments. The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research on customized learning support measure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모형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민지식(Jisik Min),강민지(Minji Kang),고귀영(Gwiyoung Ko). (2025).온·오프라인 학습 경험에 따른 대학생의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인지적 학습참여, 학습성과의 다집단 경로분석. 열린교육연구, 33 (2), 71-98

MLA

민지식(Jisik Min),강민지(Minji Kang),고귀영(Gwiyoung Ko). "온·오프라인 학습 경험에 따른 대학생의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인지적 학습참여, 학습성과의 다집단 경로분석." 열린교육연구, 33.2(2025): 71-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