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제바칼로레아 DP 과정과 대학입시제도 연계에 대한 영국, 일본 간 비교
이용수 3
- 영문명
- Comparison of the Linkage Between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 (IBDP) and University Admissions Systems in the United Kingdom and Japan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윤혜정(Hyejeong Yoon) 김갑성(Kapsung Kim)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2호, 157~17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미래 학습 체제 도입의 필요로 인해 IB 프로그램이 공교육 중심으로 확대됨에 따라, IBDP를 정책적으로 도입한 영국과 일본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한국 고교 교육과정과 대학 입시 연계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영국은 사회 계층 간 교육 격차 해소와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의 강력한 재정 지원을 바탕으로 IBDP를 도입하였으며, A레벨과의 점수 환산 체계를 통해 대학 입학 제도와의 연계를 강화하였다. 일본은 저출산·고령화와 내향적 사회 분위기에 따른 글로벌 인재 육성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IBDP를 국제화 전략의 일환으로 적극 수용하고 AO전형을 중심으로 IB 성적 및 자격을 활용하였다. 두 국가는 모두 IBDP 성적을 대학 입학 자격으로 인정하며 공신력 있는 평가 자료로 받아들이고 있으나 그 방식에는 차이가 있다. 이 두 국가의 사례를 바탕으로, 한국 공교육에 IBDP를 도입하기 위해 국내 대학 입시 제도와의 연계 방안을 탐색하고 지속 가능한 정책적 기반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policy implications for linking Korea’s high school curriculum and university admissions system by analyzing the cases of the United Kingdom and Japan, where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 (IBDP) has been integrated into public education to address the growing demand for future-oriented learning systems in respons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UK adopted IBDP with substantial government funding to address educational disparities across social classes and adapt to a multicultural society. By establishing a score equivalence system with A-Levels, the UK strengthened the integration of IBDP into its university admissions framework. In Japan, the need to nurture global talent in response to challenges such as low birth rates, an aging population, and an increasingly inward-looking society prompted the adoption of IBDP as part of its globalization strategy. Japan actively utilizes IB scores and qualifications, primarily through its AO (admissions office) admissions track.
While both countries recognize IBDP scores as valid university admission credentials and credible evaluation tools, their approaches differ. Based on these cases,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 should explore ways to align IBDP with its university admissions system and establish a sustainable policy foundation to facilitate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BDP in public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열린교육연구 제33권 제2호 목차
- 타문화 연구 현장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연구
- 외국인 유학생 대상 비교과교육과정이 한국어 전공역량에 미치는 영향 : C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 MZ세대 부모의 영유아교육기관 이용경험과 선호경향 - 어린이집 중심으로
- K-culture 기반 협력 프로젝트에서 학습자의 인식과 경험: 한국인과 외국인 학습자의 협력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 미래교육 설계에서 철학상담의 역할과 비전
- 생성형 AI 시대 지식정보처리역량 교육의 방향 탐색
- 온·오프라인 학습 경험에 따른 대학생의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인지적 학습참여, 학습성과의 다집단 경로분석
- 국제바칼로레아 DP 과정과 대학입시제도 연계에 대한 영국, 일본 간 비교
- 중등 사회과 남교사들의성평등교육 실천: 의미와 딜레마
- 관점 확장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연구 : 이상적 역할채택에 대한 하버마스의 논의를 중심으로
- 문제 해결 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 융합형 교수 모델 개발: 고등학교 국어과·사회과 연계 탐구 기반 토론 모형을 중심으로
- AI 윤리에 대한 예비 영양교사의 인식: A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