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멍갈파래류 사료첨가제 급여와 연령에 따른 한우 장내메탄생성균 군집 변화와 미생물 군집 다양성 비교 분석
이용수 9
- 영문명
- Comparative Analysis of Gut Microbiota and Methanogenic Archaea in Korean Cattle Based on Age and Feed with Ulva sp. Additive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장은비(Eun-Bi Jang) 강민주(Min-Ju Kang) 조용호(Yong-Ho Jo) 윤원종(Weon-Jong Yoon) 정만영(Man-Young Jung) 김응석(Eung-Seok Kim) 권미예(Mi-Ye Kwon)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63권, 277~29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반추위동물의 장내 메탄가스 생성 조절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장내 미생물의 청사진을 밝히는 연구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발달된 기술을 적용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반추위 동물의 장내 미생물 균총 결과데이터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반추위 동물 중 한우의 위장관계 미생물 군집 분석을 조사하기 위해 반추위액, 분변 그리고 구멍갈파래류사료 첨가에 따른 미생물 군집 분석를 수행하였다. 위장관계 미생물 군집 분석 결과, 분면 및 위액 모든 샘플에서 Firmicutes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액과 분변 샘플 차이에 따라 우점하는 미생물이 달랐을 뿐만 아니라 암소와 달리 육성우에서 박테리아(Spirochetes)와 고세균(Methanocorpusculum)이 각각 우점하면서 한우의 연령에 따라 분변 내 미생물 군집 구조가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 Paeniclostridium ghonii 그룹의 경우 분변에 우점하여 carbohydrate의 함유량에 따른 소화 능력 정도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Methanosphaera_uc 종의 경우 구멍갈파래류 첨가사료제 급여 소의 샘플에서 매우 낮은 농도로 확인되어 급여 조건에 따른 메탄생성균의 군집 내 비율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축사 생육 환경 및 생애주기에 따른 미생물의 탐색과 그에 따른 특화된 생균제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장내 메탄생성균 조절을 위한 구멍갈파래류 사료 첨가제 개발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growing interest in regulating methane production in ruminants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elucidating the blueprint of gastrointestinal microbiota. Despite advancements in analytical techniques, data on the microbial communities in ruminants' gastrointestinal systems remain limite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icrobial communitie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Korean native cattle (Hanwoo) by analyzing rumen fluid, feces, and the impact of dietary Ulva sp. supplementation. Results revealed that Firmicutes dominated across all rumen fluid and fecal samples. However, differences in dominant microbial taxa were observed between rumen fluid and fecal samples, as well as between calves and growing cattle. In calves, Spirochetes and Methanocorpusculum were predominant, indicating age-dependent differences in the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The prevalence of Paeniclostridium ghonii in feces provided indirect insights into the digestive capacity influenced by carbohydrate content. Notably, Methanosphaera_uc was detected at very low levels in Ulva sp.-supplemented cattle, suggesting that dietary conditions can alter the composition of methanogenic archaeal communities. These findings offer foundational data for the exploration of microbial communities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and life cycle variables in cattle. Furthermore, this study could be usefu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green seaweed(Ulva sp.)-based additives, to regulate methanogenic archaea in ruminants.
목차
Ⅰ. 서론
Ⅱ. 재료 및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토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주도연구 제63권 목차
- 17세기 초 ‘유구(琉球) 왕자 제주 살해설’이라는 소문과 그 역사적 배경 - 제주도에 대한 ‘출륙금지령’과 관련하여
- 제주특별자치도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의 경제적효과 분석
- 제주도 한라산 신성 경관의 진화 과정 - 연상적 문화경관의 관점을 중심으로
- 제주특별자치도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기록과 구술로 본 ‘바당싸움’의 원인에 관한 연구 - 종달·시흥 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 제주 기업의 워라밸 지원과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워라밸 조직문화의 매개효과 - 다중집단모델 분석을 중심으로
- 사방오리(Alnus firma) 잎 추출방법에 따른 항균, 항염,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
- 자기결정성이론과 지속가능지능으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생태관광지 방문객의 행동의도에 대한 연구 - 제주 동백동산 습지를 중심으로
- 방문객 온라인 리뷰 분석을 통한 관광지 이미지 연구 - 제주곶자왈도립공원을 중심으로
- 제주도 관중과(Dryopteridaceae) 식물의 형태학적 및 분자생물학적 동정 비교
- 구멍갈파래류 사료첨가제 급여와 연령에 따른 한우 장내메탄생성균 군집 변화와 미생물 군집 다양성 비교 분석
- 제주지역 초·중 통합운영학교 교육과정 운영 실제에 관한 연구
- 제주지역 전기자동차 재사용 배터리를 활용한출력제어 완화 전략 및 운영 방안
- 국내 감귤에 등록된 살충제에 대한 환경영향지수(EIQ)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제주도연구 제63권 목차
- 17세기 초 ‘유구(琉球) 왕자 제주 살해설’이라는 소문과 그 역사적 배경 - 제주도에 대한 ‘출륙금지령’과 관련하여
- 제주특별자치도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의 경제적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