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주도 한라산 신성 경관의 진화 과정 - 연상적 문화경관의 관점을 중심으로
이용수 5
- 영문명
- An Evolutionary Process of Sacred Landscape on the Mt. Halla in Jeju Island : A Perspective from Associative Cultural Landscape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류제헌(Je-Hun Ryu) 김순배(Sun-Bae Kim)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63권, 37~6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의 세계자연유산을 구성하는 ‘한라산 천연보호구역’을 대상으로 세계문화유산으로 확장 등재하는 것이 가능한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라산의 ‘백록담 일원’과 ‘영실기암과 오백나한’을 대상으로 등재 유형을 무형의 정신적 가치를 강조하는 연상적 문화경관으로 전제하고 한라산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등재 기준 (vi)’에 맞추어 검토하였다. 특히 두 경관에 내재되어 있는 신성성과 영성성의 진화 과정이 시대와 이념, 그리고 문화집단에 따라 어떻게 진행되었는가를 분석하고, 경관에 투영된 문화유산적 가치를 심미적 가치와 정신적 가치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한라산 백록담과 영실기암의 사례는 연상의 단계와 구조가 단순하지 않고 시대와 이념, 그리고 종교적 문화집단에 따라 현재까지 상호 혼합되거나 혹은 평행한 방향으로 진화되어 왔음을 확인하였다. 결국 현재 국가유산 정책에 암묵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자연유산과 문화유산 사이의 분리 및 괴리 현상을 극복하고 향후 하나의 유산을 복합문화유산이자 문화경관으로 바라보는 통합적 관점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heritage values of Hallsan Mountain [漢拏山]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landscape, while concentrating on the spiritual dimension rather than aesthetic one. In the examination, the focus will be given on the process through which different layers of sacredness have been accumulated on two main sites: Baekrokdam Lake [白鹿潭] and Yeongsil Valley [靈室]. Then, how different cultural contexts - ideas, beliefs, ideologies and practices - have been associated with the formation of sacred landscapes on the mountain will be interpreted by the standards from the third type of World Heritage Cultural Landscape: Associative Cultural Landscape.
The inclusion of Associate Cultural Landscape on the World Heritage List is justifiable by virtue of the powerful religious, artistic, or cultural associations of the natural element rather than material cultural evidence, which may be insignificant or even absent (Operational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World Heritage Convention, 2002). It is recommended that the World Heritage criterion (vi) should be satisfied when nominating the cultural landscape of this type: “be directly or tangibly associated with events of living traditions, with beliefs, with artistic and literary works of outstanding universal significance.” In this paper, therefore, the interpretation will based on the artistic and literary and painting works along with oral tradition that were produced mainly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목차
Ⅰ. 서론
Ⅱ. 문화-역사적 맥락: 서로 다른 문화집단의 경합과 공존
Ⅲ. 한라산(漢拏山)과 백록담(白鹿潭)
Ⅳ. 영실(靈室) 계곡과 기암(奇巖)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주도연구 제63권 목차
- 17세기 초 ‘유구(琉球) 왕자 제주 살해설’이라는 소문과 그 역사적 배경 - 제주도에 대한 ‘출륙금지령’과 관련하여
- 제주특별자치도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의 경제적효과 분석
- 제주도 한라산 신성 경관의 진화 과정 - 연상적 문화경관의 관점을 중심으로
- 제주특별자치도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기록과 구술로 본 ‘바당싸움’의 원인에 관한 연구 - 종달·시흥 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 제주 기업의 워라밸 지원과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워라밸 조직문화의 매개효과 - 다중집단모델 분석을 중심으로
- 사방오리(Alnus firma) 잎 추출방법에 따른 항균, 항염,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
- 자기결정성이론과 지속가능지능으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생태관광지 방문객의 행동의도에 대한 연구 - 제주 동백동산 습지를 중심으로
- 방문객 온라인 리뷰 분석을 통한 관광지 이미지 연구 - 제주곶자왈도립공원을 중심으로
- 제주도 관중과(Dryopteridaceae) 식물의 형태학적 및 분자생물학적 동정 비교
- 구멍갈파래류 사료첨가제 급여와 연령에 따른 한우 장내메탄생성균 군집 변화와 미생물 군집 다양성 비교 분석
- 제주지역 초·중 통합운영학교 교육과정 운영 실제에 관한 연구
- 제주지역 전기자동차 재사용 배터리를 활용한출력제어 완화 전략 및 운영 방안
- 국내 감귤에 등록된 살충제에 대한 환경영향지수(EIQ)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제주도연구 제63권 목차
- 17세기 초 ‘유구(琉球) 왕자 제주 살해설’이라는 소문과 그 역사적 배경 - 제주도에 대한 ‘출륙금지령’과 관련하여
- 제주특별자치도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의 경제적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