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기결정성이론과 지속가능지능으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생태관광지 방문객의 행동의도에 대한 연구 - 제주 동백동산 습지를 중심으로
이용수 4
- 영문명
- Study on Behavioral Intention of Ecotourism Visitors through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Extended with Sustainable Intelligence : Focused on Dongbaek-Dongsan Wetland in Jeju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고채환(Chai-Hwan Ko)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63권, 167~19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이론과 계획행동이론의 통합모형, 조절변수로서의 지속가능지능을 적용하여 생태관광지 방문객의 행동의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지인 제주 동백동산습지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수집된 총 304부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SPSS/WIN 27.0과 AMOS 23 프로그램을 통한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 자기결정성과 계획행동을 구성하는 하위변수들 간의 관계가 행동의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또한, 지속가능지능이 계획행동의 변수들과 행동의도 사이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방문객의 내재적 동기 유형이 발현될수록 계획행동의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 행동의도의 향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지속가능지능은 방문객 계획행동의 태도와 행동의도 사이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없었으나 주관적 규범과 행동의도, 지각된 행동통제와 행동의도 사이에서는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미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생태관광지의 지속적인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 등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며 향후 계절별 연구와 국내·외 생태관광지들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더욱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behavioral intention among visitors to ecotourism sites. It applies an integrated model combining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sustainable intelligence as a moderating variable.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visitors to Jeju Dongbaek-Dongsan wetland, the research site. A total of 304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empir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WIN 27.0 and AMOS 23. The analysis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variables of self-determination and planned behavior in shaping behavioral intention. Addition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sustainable intelligence on behavioral intention was verified.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revealed that intrinsic motivation plays a significant role in positively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planned behaviors, ultimately enhancing behavioral intention. Also, sustainable intelligence showe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between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f planned behavior, and behavioral inten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stronger sense of intrinsic motivation positively impact on planned behavior and it ultimately impacts on the formation of behavioral intention.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verse efforts including policies and programs that would positively influence on the sustainable growth of ecotourism sites in the future. Additionally, more practical insights can be provided through seasonal research and comparative research wi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ecotourism site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Study Hypothesis
Ⅲ. Research Method
Ⅳ. Analysis Result
Ⅴ. Discussion and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주도연구 제63권 목차
- 17세기 초 ‘유구(琉球) 왕자 제주 살해설’이라는 소문과 그 역사적 배경 - 제주도에 대한 ‘출륙금지령’과 관련하여
- 제주특별자치도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의 경제적효과 분석
- 제주도 한라산 신성 경관의 진화 과정 - 연상적 문화경관의 관점을 중심으로
- 제주특별자치도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기록과 구술로 본 ‘바당싸움’의 원인에 관한 연구 - 종달·시흥 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 제주 기업의 워라밸 지원과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워라밸 조직문화의 매개효과 - 다중집단모델 분석을 중심으로
- 사방오리(Alnus firma) 잎 추출방법에 따른 항균, 항염,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
- 자기결정성이론과 지속가능지능으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생태관광지 방문객의 행동의도에 대한 연구 - 제주 동백동산 습지를 중심으로
- 방문객 온라인 리뷰 분석을 통한 관광지 이미지 연구 - 제주곶자왈도립공원을 중심으로
- 제주도 관중과(Dryopteridaceae) 식물의 형태학적 및 분자생물학적 동정 비교
- 구멍갈파래류 사료첨가제 급여와 연령에 따른 한우 장내메탄생성균 군집 변화와 미생물 군집 다양성 비교 분석
- 제주지역 초·중 통합운영학교 교육과정 운영 실제에 관한 연구
- 제주지역 전기자동차 재사용 배터리를 활용한출력제어 완화 전략 및 운영 방안
- 국내 감귤에 등록된 살충제에 대한 환경영향지수(EIQ)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제주도연구 제63권 목차
- 17세기 초 ‘유구(琉球) 왕자 제주 살해설’이라는 소문과 그 역사적 배경 - 제주도에 대한 ‘출륙금지령’과 관련하여
- 제주특별자치도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의 경제적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