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문학의 ‘편집증적 읽기’와 변화하는 문학 창작 - 윤이형의 『설랑』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Paranoid Reading’ in Korean Literature and Transformation of Literary Writing : Focused on Yun I-Hyeong's Seolrang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박준훈(Joon-Hoon Pak)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제209집, 31~5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윤이형의 『설랑』을 ‘편집증적 읽기’에 기반하여 분석함으로써 문학 창작의 변화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5년과 2016년, 신경숙 표절 사태와 ‘문단 내 성폭력’ 해시태그 운동을 겪으며 한국문학에서 독자는 새로운 주체로 부상했다. 특히 페미니즘, 퀴어, SF 서사는 이런 상황에서 독자들의 요구에 따라 급격히 한국문학의 내부로 소환되었다. 이런 맥락에서 윤이형의 『설랑』은 퀴어 여성 소설가들의 사랑과 문학 창작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또한 늑대인간이라는 소재는 이 소설을 페미니즘, 퀴어, 판타지(또는 SF)의 교차점에 위치시킨다. 본 연구는 윤이형의 『설랑』의 주된 갈등이 문학 창작을 둘러싸고 진행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를 이브 세지윅의 ‘편집증적 읽기’와 연관지어 독해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문학에 대한 비판이 어떻게 문학 창작의 갈등과 변화로 이어졌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설랑』 속 서영의 서영의 편집증적인 특징들을 밝히고, 이런 특징들이 문학 창작의 과정에서 비롯되었으며, 어떻게 사랑에 대한 갈등으로 확장되고 재생산되는지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서영이 편집증적 위치로부터 가능해지는 회복적 읽기와 문학 창작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이를 다시 『설랑』의 특징과 연관지어 논하였다. 이는 『설랑』이 스스로 로맨스 소설에 자신을 위치시키며, 퀴어의 삶과 사랑을 재현하는 방식에 대한 소설적 응답으로서 제시된다는 사실과 관련되어 있었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한국문학에 대한 비판이 어떻게 문학 창작의 변화로 이어지는 추적하고자 하였다. 『설랑』에서 이러한 변화는 편집증적 위치가 지닌 한계의 인식과 문단의 평가를 대체하는 독자들의 평가, 한국문학 외부로부터 확보한 서사적 자원들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문학 창작에 대한 『설랑』의 갈등 구도는 퀴어 재현에 대한 응답이라는 점에서 뿐만 아니라, 2020년 이후 본격화된 무단 인용 논란에 대해서도 주요한 시사점을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how transform in literary writing are progressing by analyzing Yun I-Hyeong’s Seolrang based on “paranoid reading”. Readers have emerged as a new subject in Korean literature in the wake of the Shin Kyung-Sook plagiarism scandal and the #MeToo movement in literary world. In particular, feminist, queer, and SF narratives rapidly bring to the inside of Korean literature. In this context, Yun I-Hyeong's Seolrang is noteworthy because It features queer women novelists writing about romance and literary writing. As the main conflict in Seolrang revolves around the creation of the novel, this study attempts to consider it in relation to Eve Sedgwick's 'paranoid reading'. Based on Sedgwick’s thesi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how the criticism of Korean literature lead to conflicts and transforms in the writing of novel. As a result, in the case of Seolrang, these transformation can be shown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limitations of the paranoid position, the replacement of the critics of literary world by reader’s review, and narrative resources from outside of Korean literature.

목차

1. 들어가며
2. 문학 창작 또는 편집증적 읽기의 재생산
3. 한국문학의 ‘외부’에서 회복적 읽기와 창작하기
4.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준훈(Joon-Hoon Pak). (2024).한국문학의 ‘편집증적 읽기’와 변화하는 문학 창작 - 윤이형의 『설랑』을 중심으로. 동방학지, (), 31-53

MLA

박준훈(Joon-Hoon Pak). "한국문학의 ‘편집증적 읽기’와 변화하는 문학 창작 - 윤이형의 『설랑』을 중심으로." 동방학지, (2024): 31-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