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K-방산을 위한 창원 방산혁신클러스터 발전 방안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ment of Changwon Defense Innovation Cluster for the Korean Defense Industry
- 발행기관
- 한국국회학회
- 저자명
- 라미경(Mi-kyoung Ra)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세계』제7권 1호, 951~97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24년은 K-방산의 메카인 창원국가산업단지가 건립된 지 50주년이 되는 해였다. 창원공단은 자주포 등 국내 방위산업의 중심지로 거제의 해군함정, 진주-사천의 공군 전투기 등과 함께 세계적으로 K-방산 중심지로 평가받고 있다. 그리고 이는 한국의 자주국방에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창원의 방위산업은 단순히 지역 경제에 기여하는 것을 넘어, 한국의 국가안보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중요한 분야이다. 남북한 체제경쟁과 전쟁위기라는 거시적 틀 속에서 창원 방위산업의 역할을 재조명함으로써, 이 지역의 전략적 가치를 더욱 명확히 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1960-70년대 남북한 체제경쟁과 창원지역에서 방위산업이 태동한 배경은 무엇인가? 둘째, K-방산을 위한 창원방산혁신클러스터의 역할은 무엇인가? 셋째, 창원방위산업의 발전 방향과 이를 뒷받침할 정책적 제언은 무엇인가?
영문 초록
2024 marks the 5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hangwo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a mecca for K-bangsan. As the center of the domestic defense industry, including self-propelled artillery, Changwon is regarded as a K-bangsan hub worldwide along with naval vessels in Geoje and air force fighter jets in Jinju-Sacheon. Changwon's defense industry is not just a contributor to the local economy, but an important field directly related to Korea's national security. It aims to further clarify the strategic value of the region by re-examining the role of the Changwon defense industry in the macroscopic framework of competition between the two Koreas and the war cri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ffirm the importance of the defense industry in the competition between the two Koreas, to highlight the strategic values of the Changwon/Gyeongnam region, and to suggest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defense industry through policy sugges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창원 방산혁신클러스터 형성 과정
Ⅳ. 창원 방산혁신클러스터의 발전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세계 제7권 1호 목차
- 사회권 관점으로 본 장애인 정책 계획 고찰 : ‘장애인 정책종합계획’의 소득보장 정책을 중심으로
- The Good Doctor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재현 연구
- 한국 정신분석의 연구 동향
- 북한이탈주민의 직업장벽 극복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중고령자의 사회자본이 자살태도에 미치는 영향 : 종교성의 조절효과
- 도박 중독자의 비합리적 도박신념과 일상생활적응 관계에서 자기조절력과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 성인 발달장애인의 텍스트 단서 유형에 따른 등장인물의 감정 추론 능력
- 장애인 보조기술 정책 비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 결혼이주여성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개발과 타당화 연구
- 아동보호전문기관 종사자들의 아동학대 개입과 회복에 관한 메타문화기술지 연구
- 중고령 노인의 자아탄력성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 : 여가몰입의 매개효과
- 비수도권 대학생들의 괜찮은 일자리 획득에 관한 근거 이론 연구 : P 지역을 중심으로
-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 이점이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양육스트레스와 자녀의 행복감의 이중매개효과
- 항공서비스학 전공 대학생의 항공면접실무 교과목 인식에 관한 연구
- IPA 분석을 통한 다문화가족 지원 정책 탐색 연구 : 결혼이민자 여성을 중심으로
- 역전이 활용 사례 연구 분석
- ESG와 사회복지 : 한국과 캐나다의 온라인 트렌드 비교 분석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지능 연구 : 학업 성취도를 중심으로
- 미술관 관람객의 행동예측모형 탐색 : 자기결정성이론과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 Personal Brand Pyramid 모델 관점의 미술 아티스트 분석: ‘우국원 작가’를 중심으로
- 창조적 혁신 관점에 의한 음악산업의 ESP 자산 서비스 모델 연구 : 음악저작권 투자 플랫폼 ‘뮤직카우’ 사례를 중심으로
- 레트로 퓨처리즘 영화 포스터 디자인의 시각 요소별 특성 연구
- VRIO 프레임워크를 통한 게임 IP 음악에 관한 분석 연구 : 라이엇 게임즈를 중심으로
- ERRC 분석을 통한 K-Pop 아이돌의 혁신 전략 연구 : 非한국인 걸그룹 'XG' 사례를 중심으로
- 공공외교 자산으로써 방탄소년단과 중남미 A.R.M.Y.
- 구전마케팅을 활용한 애니메이션 마케팅 믹스 전략에 관한 연구 : '최애의 아이'를 중심으로
- 이주와 공간 그리고 트랜스내셔널 서사 : 테브픽 바세르의 영화 <40평방미터 독일>을 중심으로
- 지역축제의 소비자체험이 도시브랜드 자산 및 도시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칭다오 국제 맥주 축제를 중심으로
- 브랜드 리브랜딩과 광고 내러티브의 전략적 변환 연구 : 기아(Kia)의 광고를 중심으로
- OTT 및 AI 시대 공영방송의 역할과 책무 : KBS와 BBC 비교분석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GPTs 챗봇 개발 연구 : 사과 화행 인접쌍 생성을 중심으로
- 불법 도로변 야립광고 방지를 위한 해법 연구 : 주관적 규범과 광고태도를 중심으로
- 김정은 시대 북한의 핵전략과 핵태세 연구 : 핵 관련 법 내용을 중심으로
- 기업 정년제도 디커플링 형성의 원인과 대안 모색 : 일본의 퇴직관리 시사점을 중심으로
- 신흥 위협과 국가 역할 변화 : 미-중 전략경쟁 맥락에서 데이터안보와 공급망안보의 교차 위협과 미국 정부의 대응
- 근대사법의 응보적 성격에 관한 연구 : 수잔 브라이슨의 성폭력 경험사례를 중심으로
- K-방산을 위한 창원 방산혁신클러스터 발전 방안
- 생태현대화 이론과 지속 가능한 섬 개발 : GR-eco Islands 사례 분석
- 독일 극우정당과 정동의 정치학 : 불안의 대상에서 불안의 해결책으로
- Cyber Panopticon : How North Korea Violates Human Rights Through Digital Surveillance
- Bridging Traditions : An Overview of Comparative Understanding on French and British Postcolonial Methodologies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더보기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맥주효모, 알로에 베라, 실크 펩타이드 추출물의 천연화장품 소재로서의 가치성 연구
- 한국과세계 제7권 1호 목차
- 사회권 관점으로 본 장애인 정책 계획 고찰 : ‘장애인 정책종합계획’의 소득보장 정책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