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수도권 대학생들의 괜찮은 일자리 획득에 관한 근거 이론 연구 : P 지역을 중심으로

이용수 5

영문명
A Grounded Theory Research on Whether Non-Metropolitan University Students Achieve Decent Work
발행기관
한국국회학회
저자명
박경자(Kyungja Park) 김명찬(Myeongchan Kim)
간행물 정보
『한국과 세계』제7권 1호, 299~338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1.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비수도권 대학생들의 괜찮은 일자리 도전과 획득 그리고 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결과에 대한 근거 이론 연구이다. 연구자는 Strauss & Corbin(1998)과 Corbin & Strauss(2015)가 제시한 근거 이론 연구 방법으로 접근했다. 연구 참여자는 이론적 표집 방법으로 선정했다. 연구 참여자 선정 기간은 2023년 8월 1일부터 2024년 4월 30일까지였다.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방 코딩에서 개념이 도출되었다. 축 코딩에서는 개방 코딩에서 구성한 13개의 범주를 패러다임 모형에 재배열했다. 인과적 조건은 비수도권 대학 핸디캡, 맥락적 조건은 수도권 중심구조, 진로 예기불안, 중심현상은 진로 자본 축적의 취약성, 중재적 조건은 취준생 윈윈, 공·사적 지지 네트워크, 내적 동기 강화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은 직업 자기효능감 강화, 자기에 의지한 투쟁, 외길 전념, 미래지향적 비전과 노력, 현실기반 진로 선택으로 나타났다. 결과는 승리의 역사 쓰기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첫째, 일 자유 의지. 둘째, 인정투쟁과 지역 사랑. 셋째, 진로 자본 축적의 취약성에 대해 논의했고, 취업진로상담센터를 중심으로 일 자유 의지를 위한 강화 프로그램. 둘째, 지역 자부심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취업 준비생들 간의 연대, 비수도권 대학생들의 긍정적 심리자본을 위한 지지 프로그램에 대해 구체적인 제언을 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challenges and acquisition of decent jobs by non-metropolitan university student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m, and the basis for the results. The researcher approached the grounded theory research method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 (1998) and Corbin and Strauss (2015) and selected the theoretical sampling method. The selection period for research participants was from August 1, 2023 to April 30, 2024. The causal conditions were the handicap of non-metropolitan universities,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the metropolitan-centered structure, career anxiety, the central phenomenon was the vulnerability of career capital accumulation, and the mediating conditions were the win-win of job seekers, public and private support networks, and the strengthening of internal motivation. The actions/interactions were the strengthening of job self efficacy, self-reliant struggle, single-track dedication, future-oriented vision and effort, and reality-based career choic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irst, Work Volition. Second,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and love for the region. Third, the vulnerability of career capital accumulation was discussed, and specific suggestions were made for a strengthening program for the will to work freedom centered on the employment and career counseling center. Second, a program that can strengthen regional pride, solidarity among job seekers, and a support program fo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or non-metropolitan university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경자(Kyungja Park),김명찬(Myeongchan Kim). (2025).비수도권 대학생들의 괜찮은 일자리 획득에 관한 근거 이론 연구 : P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과 세계, 7 (1), 299-338

MLA

박경자(Kyungja Park),김명찬(Myeongchan Kim). "비수도권 대학생들의 괜찮은 일자리 획득에 관한 근거 이론 연구 : P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과 세계, 7.1(2025): 299-3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