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조적 혁신 관점에 의한 음악산업의 ESP 자산 서비스 모델 연구 : 음악저작권 투자 플랫폼 ‘뮤직카우’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14

영문명
An Analysis on ESP Asset Service Model in the Music Industry from Creative Innovation Perspective : Focused on Music Copyright Investment Platform ‘Musicow’
발행기관
한국국회학회
저자명
김선영(Sun-Young Kim) 김기창(Kee-Chang Kim) 백지연(Ji-Yeon Baek)
간행물 정보
『한국과 세계』제7권 1호, 707~746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1.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음악산업에 새롭게 등장한 자산 서비스 제공 모델 사례인 음악 저작권 투자 플랫폼 '뮤직카우'를 중심으로, 문화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를 창조적 혁신을 통한 성장 모델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그 의미와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지시적 내용분석을 채택하고 문헌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기술 혁신’ 측면에서, 뮤직카우는 디지털 자산화 기술과 빅데이터 기반 음악 가치평가 시스템을 도입하고, 실시간 데이터 분석 기술을 구현했다. 둘째, ‘R&D 경쟁’ 측면에서, 무형자산의 계량화, 디지털 기반의 자산 유동화, 핀테크 기반의 투자 플랫폼 기술, 특히 리스크 관리 모델, 행동경제학 등을 적용하여 경쟁 우위를 달성했다. 셋째, ‘시장 진입과 퇴출’ 측면에서, '프로슈머'로서의 개인 투자자, 핀테크 기업, 데이터 브로커 등 새로운 참여자들이 진입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기존 음원플랫폼, 유통사 등의 기술이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넷째, ‘내생적 성장’ 측면에서, 플랫폼 참여자 간 상호작용, 데이터 축적, 알고리즘 개선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자생적 성장동력을 구축했다. 마지막으로 ‘연속적 혁신’ 측면에서, 뮤직카우는 초기 디지털화된 저작권 모델에서 시작해 다이내믹 프라이싱 모델, 옥션 제도 도입 등 지속적인 서비스 혁신을 이어가고 있다. 본 연구는 금융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음악산업에 일어나는 창조적 혁신의 매커니즘을 규명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significance of Musicow, Korea's first music copyright investment platform, as a new paradigm shift through creative destruction and growth model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First, in term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Musicow implemented digital asset technology and big data-based music valuation systems. Second, regarding R&D competition, they gained advantages through intangible asset quantification and fintech-based platform technology with risk management models. Third, for market entry and exit, it enabled new participants like prosumer investors, fintech companies, and data brokers, while existing music platforms experienced innovation growth. Fourth, in endogenous growth, the platform created self-sustaining momentum through participant interactions and data accumulation. Finally, regarding continuous innovation, Musicow evolved from a digital copyright model to implementing dynamic pricing and auction systems. The study concludes that Musicow represents a new cultural- financial paradigm convergence, providing insight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분석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영(Sun-Young Kim),김기창(Kee-Chang Kim),백지연(Ji-Yeon Baek). (2025).창조적 혁신 관점에 의한 음악산업의 ESP 자산 서비스 모델 연구 : 음악저작권 투자 플랫폼 ‘뮤직카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 세계, 7 (1), 707-746

MLA

김선영(Sun-Young Kim),김기창(Kee-Chang Kim),백지연(Ji-Yeon Baek). "창조적 혁신 관점에 의한 음악산업의 ESP 자산 서비스 모델 연구 : 음악저작권 투자 플랫폼 ‘뮤직카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 세계, 7.1(2025): 707-7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