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교통범죄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Elderly Traffic Crime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오정용(Jung-Yong Oh)
- 간행물 정보
- 『원광법학』제40권 제4호, 147~16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25년 우리나라는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이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노인교통범죄는 이제 사회문제의 한 축을 나타내고 있다. 최근의 전체 교통범죄가 감소하고 있는 추세임에 반해 노인교통범죄는 다른 범죄에 비해 발생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 사회의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른 당연한 귀결이 아닐 수 없다. 고령화 현상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주로 사회학이나 노년학 등에서 다뤄졌던 경향이 있으나 이제는 교통범죄라는 측면에서의 범죄학 분야에서도 깊이 있게 성찰해 볼 필요가 있다.
노인운전자는 다른 연령층과 비교할 때 운전능력에 대한 신체기능의 저하라는 점을 부정할 수 없다. 이러한 대책과 관련하여 제시되고 있는 제도로서는 ‘운전면허 자진반납제도’, ‘조건부 면허제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제도의 실효성과 관련해서는 많은 문제들이 지적되고 있다. 운전능력을 판별할 수 있는 실질적 검사로서의 기능을 담보하고 있는지, 노인의 직업적 환경 내지 지역적 특성이 제대로 고려되고 있는지 등 규제에 따른 효과와 노인의 이동권 보장이 적절하게 조화되고 있는가라는 근본적인 성찰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통제와 규제를 통한 사고예방의 효과는 분명히 있다. 하지만 이러한 대책을 제시하기에 앞서 최소한의 이동권과 자유권을 보장하지 않은 채 효율성을 강조한 나머지 나이에 따른 일상의 불편함을 감수하라는 것은 우리 사회가 추구하는 방향은 아닐 것이다.
사람은 누구나 나이가 들면 신체기능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인적 특성과 관련한 예방대책이 중요한 것은 두말의 여지가 없다. 그렇지만 노인운전자의 경우에는 일반 성인의 교통범죄와는 다른 이해의 틀에서 고민해야 하며, 형식에 그치지 않고 실제로 노인운전자의 운전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제도로서 그 기능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노인운전자라는 특성으로 인해 이동권을 일률적으로 제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새로운 제도의 제안보다는 실제로 운전능력을 가늠할 수 있도록 현행 제도에 대한 운용의 실효성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영문 초록
In 2025, South Korea is expected to enter an ultra-aging society, and elderly traffic crimes have become a significant social issue. While overall traffic crimes have been declining recently, elderly traffic crimes are occurring at a relatively higher rate compared to other crimes. This phenomenon can be seen as an inevitable consequence of the changing demographics in our society. Academic interest in aging has primarily been focused on fields like sociology and gerontology. However, it is now necessary to deeply reflect on this issue within the field of criminology, particularly from the perspective of traffic crimes.
Elderly drivers cannot deny the decline in physical abilities related to driving skills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Regarding such countermeasures, examples of proposed systems include the ‘Voluntary Driver's License Surrender System’ and the ‘Conditional License System’. However, many issues have been raised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these systems. It is a critical time for fundamental reflection on whether the regulations ensure the practical function of tests that assess driving ability, whether the occupation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re properly taken into account, and whether the protection of the elderly's right to mobility is appropriately balanced. There is undoubtedly an effect of accident prevention through control and regulation. However, before proposing such countermeasures, emphasizing efficiency without ensuring at least the basic rights to mobility and freedom, and forcing the elderly to endure daily inconveniences due to their age, is not the direction our society should pursue.
Everyone inevitably experiences a decline in physical abilities as they age. There is no doubt about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measures related to these human characteristics. However, in the case of elderly drivers,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issue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than that of general adult traffic crime, and there needs to be an inspection to ensure that the system not only serves a formal purpose but also functions properly in assessing the driving ability of elderly drivers. It is not desirable to impose uniform restrictions on the right to mobility solel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drivers. Instead of proposing new systems, the focus should be on the effectiveness of operating the current system to actually assess driving ability.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노인교통범죄의 현황
Ⅲ. 교통범죄에서의 사실인식과 위법성인식
Ⅳ. 현행제도의 문제와 대안
Ⅴ. 맺으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원광법학 제40권 제4호 목차
- 이른바 스텔싱(Stealthing)행위의 가벌성에 관한 검토
- 사회기반시설 민간투자사업에 대한 민간투자법과 다른 개별법률의 법체계 정비 방안
- 런던의정서와 CCS 기술의 규제: 호주, 인도네시아 및 우리나라의 법적 프레임워크 분석
- 뉴질랜드의 불법 마약 관련 법과 통제정책: 한국과의 간략한 비교
-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지방자치 및 분권형 헌법개정에 대한 담론
- 노인교통범죄에 관한 연구
- 中国共同抵押权实现规则研究 - 以调整当事人的利益为中心
- 강제추행죄에 있어 폭행의 개념성에 관한 비판적 검토 - 대법원 2023. 9. 21. 선고 2018도13877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공판단계에서 책임능력 판단기준에 관한 검토
- 담배꽁초를 버린 공동의 과실이 경합 되어 화재가 발생한 경우, 각자 실화죄의 책임을 인정한 ‘2022도16120 판결’에 대한 평가
- 현행 취업규칙 제도의 기능적 한계와 개선방안 - 주요 대법원판결의 흐름을 중심으로
- 전후 연합국의 일본 영토 처리의 기본방침과 독도의 지위 - 1950~60년대 한일간 정부 견해를 기초로
- 문화재주택에 대한 과세문제와 개선방안
- Justification and Protection of Assisted Reproductive Rights for Single Women in China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