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찰의 스토킹범죄 피해자 안전조치 우선순위 분석
이용수 2
- 영문명
- Analysis of Prioritization in Police Safety Measures for Stalking Crime Victims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서을원(Eulwon Seo) 이창한(Changha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第23券 第5號, 275~29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스토킹 범죄 피해자에 대한 경찰의 안전조치 효율적 운영 방안을마련하기 위해, 안전조치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피해자전담경찰관과 여성청소년수사관이다. 서울청 관할 31개 경찰서에서 각1명씩 총 62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이들은 범죄 피해자에 대한 안전조치를담당하고 있어 실질적 경험과 전문성이 있다. 또한 범죄로 인해 현재 안전조치를받고 있는 피해자 중 각 경찰서별 1명씩 총 31명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절차는 크게 3단계이다. 문헌조사 이후 FGI 조사를 실시하여 AHP 분석을 위한 계층모형 구조 및 요인 등을 결정과 계층모형 구조 및 요인을 활용하여스토킹범죄 피해자 안전조치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스토킹범죄 피해자 업무 담당 경찰관과 스토킹범죄 피해자 두 집단 모두 '신변경호'와 '스마트워치 제공'이 우선순위를 보였으며, '112 시스템 등록'과 '맞춤형순찰'은 가장 낮은 순위였다. 이러한 결과는 스토킹범죄가 2차 피해의 가능성과중대성에서 모두 동의함에 따라 강력한 경찰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수 있다.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의 다양한 보호조치 이외에도경찰의 주거지 등 맞춤형 순찰과 CCTV 설치, 112시스템 등록, 스마트워치지급 등 복합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ioritization of safety measures for stalking crime victim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ir implementation. The study subjects include 62 police officers responsible for victim protection, such as victim support officers and women and juvenile crime investigators, with one officer selected from each of the 31 police stations under the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Additionally, 31 stalking crime victims currently receiving safety measures were included, with one victim from each police station.
The research procedure consisted of three main stages. After a literature review,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hierarchical model structure and factors for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alysis. Using this model and its identified factors, the importance and prioritization of safety measures for stalking crime victims were deriv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both groups—the police officers responsible for stalking crime victim protection and the victims themselves—prioritized “personal protection” and “provision of smartwatches” as the most critical measures. In contrast, “112 system registration”(emergency hotline linkage) and “customized patrols” were ranked as the least critical.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robust police actions due to the significant likelihood and severity of secondary victimization in stalking crimes. In addition to the various protective measures stipulated in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Stalking Crimes, comprehensive measures such as customized patrols around victims' residences, installation of CCTV, 112 system registration, and the provision of smartwatches are essential for ensuring the safety of stalking crime victim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의 영장청구권 부여에 관한 정책적 방안 논의
- 민간경비학 연구자들의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과 윤리적 한계에 대한 인식 분석
- 정치인 안전 확보를 위한 신변보호 방안 연구
- 신제도주의 관점에서 본 경찰조직 변화 분석: 역사적 제도주의 통합적 관점 적용
- 청원경찰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업소명의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스토킹 범죄에 대한 경찰의 대응 강화 방안
-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의존도의 종단적 매개효과
- 소외노인의 국가 안전서비스 확보방안 연구
- 스포츠 행사 시 정보경찰 역할에 관한 연구: 2024 부산세계탁구선수권대회를 중심으로
- 경찰청 마음동행센터 운영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 경찰활동을 통한 자치경찰 운영 방안
- 경찰의 스토킹범죄 피해자 안전조치 우선순위 분석
- 법원보안관리대원의 임파워먼트가 보안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채
- 자립준비 청년의 범죄 피해 예방 연구
- 민간경비 성장이론의 적용과 실증 연구
- 공동주택 경비원의 스트레스 요인 분석에 따른 개선 방안
- 고려인 국내 이주 문제에 대한 치안 및 국가전략 정책적 접근: 제천 고려인 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 해양환경정책 개선에 관한 연구
- 청소년 지위비행의 경험적 검증: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