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외노인의 국가 안전서비스 확보방안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securing national safety services for vulnerable elderly people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임성은(Sungeun Lim)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第23券 第5號, 149~16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는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노인 관련 사회적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특히, 소외노인의 범죄피해는 심각한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범죄와관련해 소외노인은 경제적 빈곤, 정서적 고립, 심리적 취약성 등으로 인해 범죄에 대한 노출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범죄 피해 사례 증가로 이어지고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소외노인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맞춤형 국가안전서비스를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사례 분석을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실효성 있는 정책적 대안을 도출하기 위해노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외노인의 범죄 취약성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첫째, 지역 사회 중심의 통합적 사회지원체계 구축을 통해 소외노인의 경제적, 정서적안정성을 도모할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둘째, 범죄 예방과 자기 보호 역량 강화를 위한 맞춤형 안전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를 제안하였다. 셋째, 첨단 기술을활용한 기술 기반 안전 시스템을 도입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 체계를마련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소외노인에 대한 정책적 지원 강화와법적 보호 체계 구축을 통해 지속 가능하고 체계적인 안전망을 제공해야 함을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Due to the rapid aging of the population in Korea, social problems related to the elderly are intensifying, and criminal victimization of isolated elderly people is becoming a serious social problem. In terms of crime, isolated elderly people are increasingly exposed to criminal activities due to economic poverty, emotional isolation, and psychological vulnerability, and the number of criminal victimization cases is also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isolated elderly people and propose tailored public safety services. To this end, the study was conducted mainly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and endeavored to derive effective policy alternatives.
The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measures to overcome the vulnerability of the isolated elderly to crime: First, it proposed to promote the economic and emotional stability of the isolated elderly by establishing a communitycentered integrated social support system. Second, it is proposed to expand customized safety education programs to strengthen crime prevention and self-protection skills. Third, it was suggested that a technology-based security system be implemented, using advanced technology to establish a rapid and efficient response system. Finally, it was proposed to establish a continuous and systematic safety net by strengthening policy support for isolated elderly people and establishing a legal protection system.
목차
Ⅰ. 서 론
Ⅱ. 현대 소외노인과 국가안전서비스의 이해
Ⅲ. 소외노인 대상 범죄피해 사례와 현황
Ⅳ. 소외 노인을 위한 국가 안전서비스 확보 방안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의 영장청구권 부여에 관한 정책적 방안 논의
- 민간경비학 연구자들의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과 윤리적 한계에 대한 인식 분석
- 정치인 안전 확보를 위한 신변보호 방안 연구
- 신제도주의 관점에서 본 경찰조직 변화 분석: 역사적 제도주의 통합적 관점 적용
- 청원경찰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업소명의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스토킹 범죄에 대한 경찰의 대응 강화 방안
-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의존도의 종단적 매개효과
- 소외노인의 국가 안전서비스 확보방안 연구
- 스포츠 행사 시 정보경찰 역할에 관한 연구: 2024 부산세계탁구선수권대회를 중심으로
- 경찰청 마음동행센터 운영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 경찰활동을 통한 자치경찰 운영 방안
- 경찰의 스토킹범죄 피해자 안전조치 우선순위 분석
- 법원보안관리대원의 임파워먼트가 보안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채
- 자립준비 청년의 범죄 피해 예방 연구
- 민간경비 성장이론의 적용과 실증 연구
- 공동주택 경비원의 스트레스 요인 분석에 따른 개선 방안
- 고려인 국내 이주 문제에 대한 치안 및 국가전략 정책적 접근: 제천 고려인 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 해양환경정책 개선에 관한 연구
- 청소년 지위비행의 경험적 검증: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