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민간경비학 연구자들의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과 윤리적 한계에 대한 인식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 analysis of perceptions on the utilization of generative AI and its ethical limitations: Focusing on private security scholars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박한호(Han Ho Park) 곽형곤(Hyounggon Kwak)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第23券 第5號, 1~3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술의 발전은 인류의 생활을 혁신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의 활용은 산업혁명을 거쳐 인터넷과 같은 혁신보다 더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이는치안분야 중 민간분야 연구도 마찬가지이다. 연구시 생성형 인공지능의 활용은연구의 질적 부분은 물론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나아가 창의적 방안을 제안까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실험실의 연구와는 달리 사회과학연구는 매우 신중한접근이 필요하다. 사회는 상호작용적이며, 살아있는 산물이기 때문에 신뢰성이검증되지 않아 실패한 정책의 영향은 돌일킬 수 없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이에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연구는 단순히 SPSS와 같은 통계적 도구(툴)를넘어 더 높은 연구윤리가 필요하며, 새로운 방식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민간경비 분야 연구자들이 생성형 인공지능을 연구에 활용하는것에 대한 윤리적 인식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 도입 이후 논문을 투고한 저자들을 대상으로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빈도분석을 통해 연구자의 인식과 활용 경향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연구자들은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이 향후 연구윤리 위반의소지가 될 수 있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연구윤리 강화의 필요성을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생성형 인공지능의 올바른 사용을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둘째, 연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기위해 생성형 인공지능의 사용에 대한 명확한 기재와 검증이 필요하다는 인식이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술 발전에 따라 변화하는 연구 환경에 적합한유연하고 포괄적인 법적 및 정책적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제안되었다.
본 연구는 민간경비학 연구에서 생성형 인공지능의 효율적이고 윤리적인활용을 위해 연구자들이 지켜야 할 방향성과 제도적 보완책을 논의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is revolutionizing human life. Especially, the utiliz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fluences a variety of social fields related to human life. This is equally true in the filed of private security research within the broader domain of public safety. The use of generative AI in research enhances not only the quality and efficiency of the research but also suggests creative solutions. However, social science research requires a highly cautious approach because policies proposed based on unverified research findings can lead to irreversible consequences. In this respect, research utilizing generative AI needs a higher standard of research ethics.
Thus,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ethical perceptions of researchers in the field of private security in terms of the use of generative AI in their research and to suggest the measures of improvement. The current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targeting authors who had submitted research papers after the introduction of generative AI services. We mainly used the frequency analysis to examine researchers perceptions and usage trends of generative AI.
The results revealed that, first, researchers were aware of the potential for generative AI usage to lead to violations of research ethics. Accordingly, researchers recognized the need to strengthen research ethics. In particular, there was a strong opinion that establishing guidelines for the proper use of generative AI is urgently needed. Second, there was a strong recognition of the need for clear verification and documentation of the sue of generative AI to ensure the reliability and transparency of research.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flexible and comprehensive legal and policy frameworks should be established to align with the evolving research environment driven by technological advancements.
We discuss the directions researchers should follow and institutional measures to be supplemented for the efficient and ethical use of generative AI in private security studies.
목차
Ⅰ. 서론
Ⅱ. 생성형 인공지능(GAI)의 이해와 학술적 한계
Ⅲ. 연구 설계 및 분석
Ⅳ. 시사점 및 논의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의 영장청구권 부여에 관한 정책적 방안 논의
- 민간경비학 연구자들의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과 윤리적 한계에 대한 인식 분석
- 정치인 안전 확보를 위한 신변보호 방안 연구
- 신제도주의 관점에서 본 경찰조직 변화 분석: 역사적 제도주의 통합적 관점 적용
- 청원경찰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업소명의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스토킹 범죄에 대한 경찰의 대응 강화 방안
-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의존도의 종단적 매개효과
- 소외노인의 국가 안전서비스 확보방안 연구
- 스포츠 행사 시 정보경찰 역할에 관한 연구: 2024 부산세계탁구선수권대회를 중심으로
- 경찰청 마음동행센터 운영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 경찰활동을 통한 자치경찰 운영 방안
- 경찰의 스토킹범죄 피해자 안전조치 우선순위 분석
- 법원보안관리대원의 임파워먼트가 보안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채
- 자립준비 청년의 범죄 피해 예방 연구
- 민간경비 성장이론의 적용과 실증 연구
- 공동주택 경비원의 스트레스 요인 분석에 따른 개선 방안
- 고려인 국내 이주 문제에 대한 치안 및 국가전략 정책적 접근: 제천 고려인 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 해양환경정책 개선에 관한 연구
- 청소년 지위비행의 경험적 검증: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