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토킹 범죄에 대한 경찰의 대응 강화 방안
이용수 0
- 영문명
- Measures to strengthen police response to stalking crimes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박종철(Jong Cheol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第23券 第5號, 121~14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스토킹 범죄는 피해자의 신체적ㆍ정신적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범죄로, 반복적이고 점진적으로 심화되는 특성을 지닌다. 본 연구는 신당역 역무원살인사건, 인천 논현동 살인사건, 구미 아파트 살인사건 등 대표적인 사례를통해 스토킹 범죄에 대한 경찰의 대응 현황과 한계를 분석하였다. 주요 문제점으로는 초기 대응의 미흡, 접근금지 명령의 실효성 부족, 피해자 보호 프로그램의미비, 경찰의 전문성 부족, 가해자 재발 방지 체계의 미비 등이 확인되었다. 현행 스토킹처벌법이 피해자 보호와 가해자 제재에 대한 기본 틀을 제공하나, 사건 발생 후에도 피해자가 지속적으로 위험에 노출되는 상황을 충분히 예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경찰 대응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사건 초기 단계에서 현장 경찰에 의한 심리적 위험성을 평가하는체계를 확립하고, 접근금지 명령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형사 처벌과는 별개로‘구치소 등의 유치’를 제안하였다. 또한 다양한 피해자 보호 프로그램의 시행과피해자보호명령 제도를 도입하고, 경찰관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 강화도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가해자의 재발 방지를 위한 교육 강화와 유관 기간 간협력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이러한 대응책이 효과적으로 시행될 때 스토킹범죄로부터 피해자의 실질적인 보호가 가능해지고 경찰의 대응 신뢰성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Stalking is a crime that seriously threatens the physical and mental safety of victims, and has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repeated and gradually worsening.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police responses to stalking crimes through representative cases such as the Sindang Station employee murder case, Incheon Nonhyeon-dong murder case, and Gumi apartment murder case. Major problems were identified as insufficient initial response, lack of effectiveness of restraining orders, lack of victim protection programs, lack of police expertise, and lack of a system to prevent recurrence of perpetrators. The current Stalking Punishment Act provides a basic framework for victim protection and perpetrator sanctions, but it does not sufficiently prevent situations in which victims are continuously exposed to danger even after the incident occurs.
This study proposed measures to strengthen police response to improve these problems. First, it proposed establishing a system to evaluate psychological risk by police officers at the scene in the early stages of the incident and ‘detention in a detention center, etc.’ separately from criminal punishment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restraining orde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various victim protection programs, introduce a victim protection order system, and strengthen education to enhance the expertise of police officers. Lastly, we need to strengthen education to prevent recurrence of perpetrators and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relevant periods. When these countermeasures are effectively implemented, it is expected that victims will be able to receive substantial protection from stalking crimes and the reliability of police response will be enhanc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대표적인 스토킹 범죄 사건 분석
Ⅳ. 스토킹 범죄에 대한 경찰 대응상 문제점
Ⅴ. 스토킹 범죄에 대한 경찰 대응상 개선방안
Ⅵ.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의 영장청구권 부여에 관한 정책적 방안 논의
- 민간경비학 연구자들의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과 윤리적 한계에 대한 인식 분석
- 정치인 안전 확보를 위한 신변보호 방안 연구
- 신제도주의 관점에서 본 경찰조직 변화 분석: 역사적 제도주의 통합적 관점 적용
- 청원경찰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업소명의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스토킹 범죄에 대한 경찰의 대응 강화 방안
-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의존도의 종단적 매개효과
- 소외노인의 국가 안전서비스 확보방안 연구
- 스포츠 행사 시 정보경찰 역할에 관한 연구: 2024 부산세계탁구선수권대회를 중심으로
- 경찰청 마음동행센터 운영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 경찰활동을 통한 자치경찰 운영 방안
- 경찰의 스토킹범죄 피해자 안전조치 우선순위 분석
- 법원보안관리대원의 임파워먼트가 보안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채
- 자립준비 청년의 범죄 피해 예방 연구
- 민간경비 성장이론의 적용과 실증 연구
- 공동주택 경비원의 스트레스 요인 분석에 따른 개선 방안
- 고려인 국내 이주 문제에 대한 치안 및 국가전략 정책적 접근: 제천 고려인 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 해양환경정책 개선에 관한 연구
- 청소년 지위비행의 경험적 검증: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