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생의 화재발생 시 피난안전의식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이용수 0

영문명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Evacuation Safety Awarenes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During Fire Incidents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김기태(Ki Tae Kim) 공하성(Ha Sung Kong)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36호, 319~335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화재 피난안전의식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전문 도구를 개발하여, 이들의 피난안전의식 수준과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있다. 학교에서 발생하는 화재는 전체 화재 중 0.47%로 비율은 낮지만, 인명피해비율은 0.94%로 상대적으로 높아 학교 화재피난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특히 인명피해의 43%가 연기와 유독가스 흡입으로 발생하여 화재경보 시 즉각적인 반응과 피난행동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총 9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초등학생의 피난안전의식을 분석하였다. 연구는 SPSS 28을 사용해 사전조사, 1차 및 2차 예비검사, 본 검사를 거쳤으며,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화재예방, 화재대비, 화재대응의 3개 하위 요인으로 구성된 39문항의 척도를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내용 타당도와 구인 타당도 분석을 통해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교차 타당화를 통해 일반화 가능성도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개발된 척도가 초등학생의 피난안전의식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도구임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는 초등학생의 피난안전의식수준을 평가하고, 교육현장에서 맞춤형 화재피난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pecialized tool for objectively evalua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re evacuation safety awareness and identifying their awareness levels and issues. While the incidence of school fires accounts for only 0.47% of all fires, the proportion of fatalities is relatively high at 0.94%, highlighting the necessity of fire evacuation education in schools. Notably, 43% of fire-related fatalities occur due to smoke and toxic gas inhalatio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immediate response and evacuation actions when a fire alarm sounds. This study surveyed 960 students from the 4th,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to analyze their fire evacuation safety awareness. Using SPSS 28, the research went through preliminary surveys, first and second pilot tests, and the main survey, followed by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Ultimately, a 39-item scale was developed, consisting of three sub-factors: fire prevention, fire preparedness, and fire response.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scale's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high through content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analysis, and its generalizability was also validated through cross-valida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developed scale is a reliable tool for objectively measuring elementary students' fire evacuation safety awarenes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Ⅴ. 연구결과 및 분석
Ⅵ.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기태(Ki Tae Kim),공하성(Ha Sung Kong). (2024).초등학생의 화재발생 시 피난안전의식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안전문화연구, (), 319-335

MLA

김기태(Ki Tae Kim),공하성(Ha Sung Kong). "초등학생의 화재발생 시 피난안전의식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안전문화연구, (2024): 319-3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