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건축공간에서의 피난이동분석모델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analysis model of evacuation movement in architectural spaces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권지훈(Ji Hoon Kweon)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36호, 79~93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이용자들이 피난 이동을 시작하는 시점에 차이가 있고 자유 이동과 혼재되는 점에 착안하여 이러한 이동모델들을 병행하여 적용하여 과밀화로 취약한 지점을 구체적으로 추적하는 피난이동분석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자유이동과 피난이동의 분석모델을 각각 작성하고 분석 대상 공간에 대하여 분석을 수행하고 결과를 도출하였다. 두 가지 이동의 분석모델로부터 도출된 결과에 대한 상관분석을 수행하여 이들의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분석조건별 자유이동과 피난이동에 대하여 유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과밀화 지점이 밀집된 위치를 추출하고 최종적으로 분석모델을 제시하였다. 각 이동방법에 따른 분석모델의 적용을 통해서 과밀화 지역에 대한 표준화 맵과 수치적 결과를 도출하였다. 특히 피난이동에서는 에이전트들의 탈출에 소요되는 시간도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탈출지점으로부터의 거리 변화에 따른 자유이동과 피난이동 간 상관관계는 낮거나 유의한 결과를 산출하지 않았다. 최종적으로 유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과밀화 공간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첫째, 자유이동과 피난이동을 분석하는 모델의 계획에서 가구의 배치유무와 에이전트의 배치방법에 따라 분석결과는 달리 도출되었다. 둘째, 두 가지 이동 방법에 따라 발생하는 이동은 관련성이 낮거나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지 않았다. 셋째, 유전 알고리즘의 적용은 과밀화 공간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게 하였다. 넷째, 자유이동과 피난이동의 과밀화 공간의 위치에는 차이가 있었다. 최종적으로 자유이동과 피난이동을 병행하여 적용하는 모델과 분석조건의 구체화로 정밀한 피난이동의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vacuation movement analysis model that can specifically track vulnerable points of congestion by applying these movement models in parallel,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ces in the timing of evacuation initiation among users and the mixture with free movement. Separate analysis models for free movement and evacuation movement were developed, and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target space to derive results. A correlation analysis was then perform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both movement models to understand their relationships. Using a genetic algorithm, the locations with densely concentrated congestion points were identified under various conditions of free movement and evacuation movement, ultimately leading to the proposal of the final analysis model. Standardized maps and numerical results for congested areas were derived by applying the analysis models according to each movement type. Notably, the time required for agents to escape was also calculated and compared in the case of evacuation movement. The correlation between free movement and evacuation movement based on distance from exit points was found to be either low or statistically insignificant. Finally, the genetic algorithm was applied to identify specific congested area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alysis results varied depending on the furniture layout and the agent placement method in the design of models analyzing free movement and evacuation movement. Second, movement generated by the two movement methods did not yield highly correlated or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ird, the application of genetic algorithms enabled the precise identification of congested spaces. Fourt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ocation of congested areas between two movement types. Finally, a model was proposed that enables a more precise analysis of evacuation movement by concurrently applying models for free movement and evacuation movement with detailed analysis condi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의 고찰
Ⅲ. 보행이동모델의 구성 및 분석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지훈(Ji Hoon Kweon). (2024).건축공간에서의 피난이동분석모델에 관한 연구. 안전문화연구, (), 79-93

MLA

권지훈(Ji Hoon Kweon). "건축공간에서의 피난이동분석모델에 관한 연구." 안전문화연구, (2024): 79-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