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작업장의 유해위험요인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 of workplace hazards and risk factors on psychological Well-Being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이규득(Gyu Duk Lee) 장길상(Gil Sang Jang) 박창권(Chang Kwon Park)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36호, 201~21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인당 국민소득이 3만불을 넘어서 삶의 질이 중요시 되는 최근 시대상황을 반영하여, 작업장의 유해위험요인과 직무만족도 및 심리적 웰빙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2023년도에 실시한 「제7차 근로환경조사」자료를 대상으로 SPSS와 AMOS를 활용하여 요인분석, 타당도 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잠재변수간 관계와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장의 유해위험요인은 심리적 웰빙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작업장의 유해위험요인은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은 심리적 웰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만족은 작업장의 유해위험요인과 심리적 웰빙 수준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리하면, 작업장의 유해위험요인은 직무만족과 심리적 웰빙수준을 낮추고 직무만족은 작업장의 유해위험요인과 심리적 웰빙 수준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결과, 경영진의 리더십이 작업장 유해위험 요인을 관리하여 안전한 일터를 만드는 것을 경영의 최우선으로 삼게 되기를 기대한다. 사고를 방지하여 인명 및 재산상 손실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무에 매진함으로써 높은 성과를 거두어 궁극적으로 이윤을 창출하는 선순환 구조로 기업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사고 후 처벌을 면하기 위해 로펌에 많은 댓가를 지불하는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사후 수습 행태에서 벗어나야 한다. 자율안전시스템 구축을 통해 사망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써, 우리나라도 사망사고 없는 OECD 선진그룹에 합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used SPSS and AMO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hazards and risk factors,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using the data from the 7th Work Environment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in 2023. The study verified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between latent variables through factor analysis, validity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orkplace hazards and risk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workplace hazards and risk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hazards and risk facto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levels. In summary, workplace hazards and risk factors lower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levels, and job satisfaction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hazards and risk facto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level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management leadership will make managing workplace hazards and risk factors a top management priority to create a safe workplace. This is because it can not only prevent accidents and reduce loss of life and property, but also transform the company into a virtuous cycle structure where employees can achieve high performance by focusing on their jobs and ultimately create profits. Through this, I hope that our country can also join the OECD advanced group with no fatal acci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고 찰
Ⅵ.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규득(Gyu Duk Lee),장길상(Gil Sang Jang),박창권(Chang Kwon Park). (2024).작업장의 유해위험요인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안전문화연구, (), 201-216

MLA

이규득(Gyu Duk Lee),장길상(Gil Sang Jang),박창권(Chang Kwon Park). "작업장의 유해위험요인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안전문화연구, (2024): 201-2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