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령 전 말더듬아동과 일반아동의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화용언어능력 특성 종단연구
이용수 52
- 영문명
- Longitudinal Study on the Pragmatic Language Skills during Play Activities in Preschool Children Who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이송민(Song Min Lee) 심현섭(Hyun Sub Sim) 이수복(Soo Bok Lee) 강진경(Jin Kyong Kang)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9. no.3, 653~66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학령전기 부모와 아동의 자연스러운 놀이 상황 속에서 일반아동과 말더듬아동의 시점에 따라 화용언어능력에 차이를 보이는지와 화용언어능력이 아동의 말더듬과 상관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2개월 간격으로 총 3번에 걸쳐 학령전기 말더듬아동 7명과 일반아동 7명, 그리고 이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자연스러운 상호작용 놀이 상황에서 발화를 수집하여 아동의AD, ND 빈도와 화용언어능력(어머니의 발화개시 빈도, 아동의 발화개시 빈도, 발화차례 주고받기 빈도)이 비유창성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초기평가와 12개월 시점에 말더듬아동 집단의 AD 빈도가 일반아동 집단의 AD 빈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24개월 시점에서는 말더듬아동과 일반아동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발화개시 빈도의변화를 분석한 결과, 초기평가에서 일반아동 집단의 발화개시 빈도가 말더듬아동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모습을 보였다. 12개월과 24 개월 시점에서는 말더듬아동에게서도 일반아동들과 비슷한 정도의 발화개시가 나타났다. 셋째, 발화차례 주고받기의 분석 결과, 말더듬아동 집단과 일반아동 두 집단 간 그리고 모든 시점에서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말더듬아동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의 발화차례 주고받기의 빈도 차이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말더듬이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호작용 및 부모교육 시 아동의 화용적인 측면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pragmatic language skills between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hereafter, CWS) and those who do not stutter (hereafter, CWNS) in natural play interactions with their parents. Additionally, the study sough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agmatic language skills and children’s stuttering. Methods: 7 CWNS and 7 CWS aged 2-5 years, and their par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a total of three times at 12-month intervals, their interactions during play activities were collected to analyze abnormal disfluency (AD), normal disfluency (ND) frequency, and pragmatic language skills (initiation utterance of child, initiation of utterance of mother and utterance turn-taking). Between-group comparisons of variables were made by collection period (initial evaluation, 12 months later, 24 months later). Results: First, the AD frequency of the CWS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WNS group at the initial evaluation and at 12 month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t 24 months. Second, the frequency of initiation of utterance in CWNS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WS group in the initial evaluation. At 12 months and 24 months, children with stutter had a similar degree of initiation of utterance as that of typical children.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WS and CWNS group in utterance turn-taking. The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utterances and turn-taking between CWS and CWNS group tended to increase over time. Conclusion: These findings confirmed that stuttering in children is influenced by their pragmatic language skills. This suggests the need for parent-child interaction and parental education programs that enhance children’s pragmatic language skills, which may positively impact fluency in CW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간 간격 및 동사 의미적 가중치에 따른 정상 노년층의 동사 유창성 수행력
- 언어발달지체 영유아 부모에 대한 원격 부모교육의 효과 및 만족도 연구
- 학령기 아동의 읽기 능력과 사회정서 행동의 관계 분석: 화용언어 능력의 매개효과
- 말 언어 문해기초 선별 체크리스트 개발과 선별 정확도 및 유용성 검증
- 한국판 영유아체크리스트(K-ITC)의 언어발달지연 영아 선별 민감도 및 특이도
- 문해·언어 능력을 고려한 유치원 5세반 아동의 이야기 회상산출 특성
- ‘대화식 책읽기’ 중재가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마음상태 어휘 산출에 미치는 효과
- 5-6세 일반 아동의 말 지각 및 음운표상 능력
-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형 치매 노인의 구어 유창성 과제에서의 군집과 전환 특성
- 문장이해과제에서 구문적 복잡성을 통한 어휘발달지연 탐색
- The Relationship of Word-Finding Behaviors and Naming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of Alzheimer’s Type
- SOVTE 종류에 따른 성대진폭과 성대접촉 속도의 차이
- 말소리장애 아동의 발화에서 나타나는 모음의 비음화 특성
- 학령 전 말더듬아동과 일반아동의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화용언어능력 특성 종단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육과정부 부장교사의 임파워먼트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기도 A시 교육지원청 관내 12개교를 대상으로
- 교육발전특구 추진과정에 나타난 일반행정과 교육행정 간 의사결정과정 분석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