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장이해과제에서 구문적 복잡성을 통한 어휘발달지연 탐색
이용수 28
- 영문명
- Detection of Vocabulary Delay through Syntactic Complexity in Sentence Comprehension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양윤희(Yoonhee Yang) 임동선(Dongsun Yim) 성지은(Jee Eun Sung)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9. no.3, 592~603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구문 난이도를 조절한 문장이해과제를 사용하여 아동의 어휘발달지연 징후를 판별하는 데 가장 적합한 조건을 분석하고, 어휘발달지연 아동들의 문장이해과제 수행에 작업기억력이 유의한 설명력을 지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4-6세어휘발달지연 아동 16명과 또래 일반 아동 16명, 총 32명의 아동이 참여하였다. 참여 아동들은 문장처리 시 하향식 의미처리(Top-down processing)를 최소화하여 구문적 특징에만 초점을 맞추도록 설계된 문장이해과제를 수행하였다. 네 가지 작업기억 과제(비단어 따라말하기, 문장 따라말하기, 숫자 폭 기억하기-정순 및 역순)도 시행되었다. 결과: 어휘발달지연 집단은 특히 피동문-전형어순(Passive Canonical) 조건에서 문장이해 시 더 큰 어려움을 보였다. 그러나 판별분석 결과, 문장이해과제 내 네 가지 하위조건 모두 입력되었을때 두 집단을 가장 강력하게 판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휘발달지연 집단에서는 문장 수준의 작업기억 과제가 문장이해과제에서 피동문-전형어순 조건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는 어휘발달지연 집단이 더 복잡한 문장을 처리하는 데 더 큰 어려움을 보였으며, 또래 일반 아동과는 달리 어휘발달지연 집단에서 복잡한 구문구조를 이해하는 것에 작업기억력이유의한 설명력을 보이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est condition for capturing signs of vocabulary delay in children using the sentence comprehension task (SCT), which consists of active and passive sentence structures with canonical and non-canonical word order conditions; and to determine whether working memory has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for SCT in children with vocabulary delay. Methods: Thirty-two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16 vocabulary delayed (VD) children and 16 typically developing (TD) children aged 4 to 6 years. Participants completed the SCT, which is designed to focus only on syntactic features by minimizing top-down semantic processing in sentence processing. Four working memory (WM) tasks (Non-word repetition, NWR; Sentence repetition, SR; Digit-forward span, DF; and Digit-backward span, DB) were also administered. Results: The VD group showed greater difficulties in sentence comprehension, especially in the passive-canonical (P-C) condition. However, discriminant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sum of all conditions in the SCT robustly discriminated these groups. In the VD group, sentence-level WM tasks predicted the passive-canonical (P-C) complex condition in the SCT. Conclusion: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the VD group had greater difficulty processing more complex sentences, and WM has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for understanding complex syntactic structures in the VD group.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간 간격 및 동사 의미적 가중치에 따른 정상 노년층의 동사 유창성 수행력
- 언어발달지체 영유아 부모에 대한 원격 부모교육의 효과 및 만족도 연구
- 학령기 아동의 읽기 능력과 사회정서 행동의 관계 분석: 화용언어 능력의 매개효과
- 말 언어 문해기초 선별 체크리스트 개발과 선별 정확도 및 유용성 검증
- 한국판 영유아체크리스트(K-ITC)의 언어발달지연 영아 선별 민감도 및 특이도
- 문해·언어 능력을 고려한 유치원 5세반 아동의 이야기 회상산출 특성
- ‘대화식 책읽기’ 중재가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마음상태 어휘 산출에 미치는 효과
- 5-6세 일반 아동의 말 지각 및 음운표상 능력
-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형 치매 노인의 구어 유창성 과제에서의 군집과 전환 특성
- 문장이해과제에서 구문적 복잡성을 통한 어휘발달지연 탐색
- The Relationship of Word-Finding Behaviors and Naming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of Alzheimer’s Type
- SOVTE 종류에 따른 성대진폭과 성대접촉 속도의 차이
- 말소리장애 아동의 발화에서 나타나는 모음의 비음화 특성
- 학령 전 말더듬아동과 일반아동의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화용언어능력 특성 종단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육과정부 부장교사의 임파워먼트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기도 A시 교육지원청 관내 12개교를 대상으로
- 교육발전특구 추진과정에 나타난 일반행정과 교육행정 간 의사결정과정 분석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