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형 치매 노인의 구어 유창성 과제에서의 군집과 전환 특성
이용수 22
- 영문명
- Characteristics of Clustering and Switching in Verbal Fluency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of Alzheimer’s Type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원은선(Eunseon Won) 최현주(Hyunjoo Choi)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9. no.3, 604~617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일반 노인, MCI, DAT 집단 간 구어 유창성 과제의 수행력, 군집과 전환 특성 및 유형별 오류 비율을 비교하는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일반 노인 30명, MCI 노인 30명, DAT 노인 29명을 대상으로 의미 유창성은 ‘가게 물건’ 범주, 음소 유창성은 ‘ㄱ’, ‘ㅇ’, ‘ㅅ’ 범주를 사용하여 각 1분 동안 해당 범주의 단어를 산출하도록 하였다. 결과: 첫째, 구어 유창성 과제의 정반응 수는 집단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였으며, 사후분석 결과 일반 노인과 DAT 집단, MCI와 DAT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였다. 둘째, 평균 군집 크기는의미 유창성 과제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음소 유창성 과제에서는 일반 노인과 DAT 집단, MCI와 DAT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였다. 셋째, 전환 수는 일반 노인과 DAT 노인 간 차이가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오류 유형별 산출 비율로는 세 집단 모두 의미유창성 과제에서는 반복 오류의 비율, 음소 유창성 과제에서는 기타 오류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일반노인, MCI, DAT 단계에서 나타나는 구어 유창성 과제의 정반응 수 및 군집과 전환 특성을 면밀히 살펴본 점과 오류 비율의 특성을 비교한 점에서 임상적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formance on a verbal fluency task, clustering and switching characteristics, and proportion by error type between healthy elderly,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nd Dementia of Alzheimer’s Type (DAT) group. Methods: Thirty healthy elderly, 30 MCI and 29 DAT individuals were asked to produce words in the category of ‘supermarket items’ for semantic fluency and ‘ㄱ’, ‘ ㅇ’, and ‘ㅅ’ Korean letter categories for phonemic fluency with one minute allotted per category. Results: First,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s in the verbal fluency task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with post hoc analyse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ealthy elderly and DAT groups and between the MCI and DAT groups. Second, the mean cluster size was not significant between groups in the semantic fluency task. How ever, it was significant between the healthy elderly and DAT groups, and between MCI and DAT groups in the phonemic fluency task. Third, the number of switches was significant between the healthy elderly and DAT elderly. Finally, the three groups had the highest pro portion of perseverative errors in the semantic fluency task and the highest proportion of other errors in the phonemic fluency task. Conclusion: This study has clinical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d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s and characteristics of clustering and switching on verbal fluency tasks in the healthy elderly, MCI and DAT group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간 간격 및 동사 의미적 가중치에 따른 정상 노년층의 동사 유창성 수행력
- 언어발달지체 영유아 부모에 대한 원격 부모교육의 효과 및 만족도 연구
- 학령기 아동의 읽기 능력과 사회정서 행동의 관계 분석: 화용언어 능력의 매개효과
- 말 언어 문해기초 선별 체크리스트 개발과 선별 정확도 및 유용성 검증
- 한국판 영유아체크리스트(K-ITC)의 언어발달지연 영아 선별 민감도 및 특이도
- 문해·언어 능력을 고려한 유치원 5세반 아동의 이야기 회상산출 특성
- ‘대화식 책읽기’ 중재가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마음상태 어휘 산출에 미치는 효과
- 5-6세 일반 아동의 말 지각 및 음운표상 능력
-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형 치매 노인의 구어 유창성 과제에서의 군집과 전환 특성
- 문장이해과제에서 구문적 복잡성을 통한 어휘발달지연 탐색
- The Relationship of Word-Finding Behaviors and Naming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of Alzheimer’s Type
- SOVTE 종류에 따른 성대진폭과 성대접촉 속도의 차이
- 말소리장애 아동의 발화에서 나타나는 모음의 비음화 특성
- 학령 전 말더듬아동과 일반아동의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화용언어능력 특성 종단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육과정부 부장교사의 임파워먼트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기도 A시 교육지원청 관내 12개교를 대상으로
- 교육발전특구 추진과정에 나타난 일반행정과 교육행정 간 의사결정과정 분석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