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어발달지체 영유아 부모에 대한 원격 부모교육의 효과 및 만족도 연구
이용수 50
- 영문명
-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Telepractice for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최시현(Si Hyeon Choi) 홍경훈(Gyung-Hun Hong)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9. no.3, 505~52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체를 나타내는 2-3세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엄마를 대상으로 아동의 언어 발달 촉진 기법을 원격부모교육 형태로 제공하고 그 효과와 대상자 만족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7명의 엄마를 대상으로 원격을 사용하여 시범(평행적 발화, 혼잣말) 기법, 선반응요구-후시범 기법, 시간지연 기법을 훈련과 코칭의 방식으로 교육하고, 가정에서 촬영한 엄마와 아동간의 상호작용 자료를 분석하여 엄마의 기법 산출 형태 변화와 아동의 발화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교육이 모두 끝난 후 대상자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대부분의 대상자들이 원격 부모교육 후에 교육 전과 대비하여 교육한 기법들의 발화당 산출률과 총 산출빈도의 향상을 나타냈으며, 아동들도 엄마에 변화에 따라 발화의 유형이 다양해지고 산출률과 산출빈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원격 부모교육에 대한 만족도도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는 원격을 활용한 부모교육이 영유아기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부모들에게 아동의 언어 발달 촉진적 상호작용 행동을 교육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parent teaching techniques to mothers of 2-3-year old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s via telepractice an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and participant satisfaction. The training focuses on techniques to promote language development in their children. Methods: The study involved training and coaching seven mothers in parallel talk, self-talk, mand-model and time delay techniques via telepractice. The interactions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were recorded at home and analyzed to observe changes in mothers’ use of the techniqu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speech. After completing the training-coaching procedure, a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 participants. Results: Most participants showed improvement in the production rate per utterance and the total frequency of the techniques after the telelpractice for parent training and coaching. The children also exhibited more diverse types of utterances and increased production rates and frequencies following their mothers’ improvements. The satisfaction with remote parent training was reported to be high.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or parent intervention, training and coaching via telepractice can be an effective alternative for educating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s, enabling them to engage in interactions that pro mote their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간 간격 및 동사 의미적 가중치에 따른 정상 노년층의 동사 유창성 수행력
- 언어발달지체 영유아 부모에 대한 원격 부모교육의 효과 및 만족도 연구
- 학령기 아동의 읽기 능력과 사회정서 행동의 관계 분석: 화용언어 능력의 매개효과
- 말 언어 문해기초 선별 체크리스트 개발과 선별 정확도 및 유용성 검증
- 한국판 영유아체크리스트(K-ITC)의 언어발달지연 영아 선별 민감도 및 특이도
- 문해·언어 능력을 고려한 유치원 5세반 아동의 이야기 회상산출 특성
- ‘대화식 책읽기’ 중재가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마음상태 어휘 산출에 미치는 효과
- 5-6세 일반 아동의 말 지각 및 음운표상 능력
-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형 치매 노인의 구어 유창성 과제에서의 군집과 전환 특성
- 문장이해과제에서 구문적 복잡성을 통한 어휘발달지연 탐색
- The Relationship of Word-Finding Behaviors and Naming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of Alzheimer’s Type
- SOVTE 종류에 따른 성대진폭과 성대접촉 속도의 차이
- 말소리장애 아동의 발화에서 나타나는 모음의 비음화 특성
- 학령 전 말더듬아동과 일반아동의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화용언어능력 특성 종단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육과정부 부장교사의 임파워먼트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기도 A시 교육지원청 관내 12개교를 대상으로
- 교육발전특구 추진과정에 나타난 일반행정과 교육행정 간 의사결정과정 분석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