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판 영유아체크리스트(K-ITC)의 언어발달지연 영아 선별 민감도 및 특이도
이용수 56
- 영문명
-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Korean-Infant and Toddler Checklist in Screening for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in Infants and Toddler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이윤경(YoonKyoung Lee) 임수아(Suah L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9. no.3, 495~50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민감도와 특이도 분석을 통하여 한국판 영유아체크리스트(K-ITC)가 언어발달지연 영아를 선별하는데 타당한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연구참가자는 6-24개월 사이의 언어발달지연 영아 39명과 이들과 일대일로 생활연령을일치시킨 전형적 발달 영아 39명, 총 78명의 영아였다. 두 집단 영아들에게서 측정된 K-ITC 총점과 세 구성영역(사회적, 발화적, 상징적영역) 점수에 대해 두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여 차이를 검정하였으며, ROC 분석을 통해 각 점수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측정하여 타당도를 검정하였다. 결과: 언어발달지연 집단이 전형적 발달 집단에 비해 K-ITC 총점과 구성영역 점수 중 사회적 영역과 발화적 영역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상징적 영역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ROC 분석 결과 총점 및 세 구성영역 점수의 AUC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민감도는 총점 95%, 세 구성영역은 87.18%, 특이도는 총점 64.10%으로 민감도가 특이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K-ITC가 언어발달지연 영아 선별검사로써 높은 민감도를 갖고 있으며, 언어발달지연을 유의하게 선별해 주는 타당도를 갖춘 검사임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Korean-infant and toddler checklist (K-ITC) in screening for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through analysis of sensitivity and specificity. Methods: Participants were 39 infants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aged 6-24 months, and 39 typically developing infants matched for chronological age. Total scores and scores from three domains (social, speech, and symbolic) of the K-ITC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s.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each score, confirming the validity. Results: Infants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scored significantly lower than typically developing infants on the social and speech do mains of the K-ITC, but not on the symbolic domain. ROC analysis indicated significant area under the curve (AUC) values for total scores and scores from each domain, with sensitivity of 95% for total scores and 87.18% for domain scores, and specificity of 64.10% for total scores. Sensitivity was notably higher compared to specificity. Conclusion: This study con firms that the K-ITC exhibits high sensitivity as a screening tool for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in infants, demonstrating validity in significantly identifying developmental delays in infants and toddler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간 간격 및 동사 의미적 가중치에 따른 정상 노년층의 동사 유창성 수행력
- 언어발달지체 영유아 부모에 대한 원격 부모교육의 효과 및 만족도 연구
- 학령기 아동의 읽기 능력과 사회정서 행동의 관계 분석: 화용언어 능력의 매개효과
- 말 언어 문해기초 선별 체크리스트 개발과 선별 정확도 및 유용성 검증
- 한국판 영유아체크리스트(K-ITC)의 언어발달지연 영아 선별 민감도 및 특이도
- 문해·언어 능력을 고려한 유치원 5세반 아동의 이야기 회상산출 특성
- ‘대화식 책읽기’ 중재가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마음상태 어휘 산출에 미치는 효과
- 5-6세 일반 아동의 말 지각 및 음운표상 능력
-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형 치매 노인의 구어 유창성 과제에서의 군집과 전환 특성
- 문장이해과제에서 구문적 복잡성을 통한 어휘발달지연 탐색
- The Relationship of Word-Finding Behaviors and Naming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of Alzheimer’s Type
- SOVTE 종류에 따른 성대진폭과 성대접촉 속도의 차이
- 말소리장애 아동의 발화에서 나타나는 모음의 비음화 특성
- 학령 전 말더듬아동과 일반아동의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화용언어능력 특성 종단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육과정부 부장교사의 임파워먼트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기도 A시 교육지원청 관내 12개교를 대상으로
- 교육발전특구 추진과정에 나타난 일반행정과 교육행정 간 의사결정과정 분석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