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 유형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중심으로

이용수 226

영문명
A Study on the Types of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Focusing on Latent Profile Analysis
발행기관
K교육연구학회
저자명
이형하(Hyoung-Ha Lee)
간행물 정보
『사회과학리뷰』제9권 제3호, 375~40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 유형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한국사회복지사협회의 사회복지사 패널조사(2022)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반사회복지사가 4,021명, 영역(의료·정신건강·학교)사회복지사는 612명, 총 4,633명이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결과 3개 유형(낮은 수준의 직무스트레스 집단, 중간 수준의 직무스트레스 집단, 높은 수준의 직무스트레스 집단)이 최종 선택되었다. 둘째, 사회복지사가 슈퍼비전 경험이 있을수록, 보수에 대한 보상적정성 정도가 긍정적 일수록, 일생활균형에 대한 직장분위기가 긍정적일수록 낮은 수준의 직무스트레스 집단(비교집단: 중간, 높은 수준의 직무스트레스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연령대가 낮을수록, 배우자가 없는 경우일수록, 정규직이 아닐수록, 보수에 대한 보상적정성 정도가 부정적 일수록, 일생활균형에 대한 직장분위기가 부정적일수록, 일반 사회복지사일수록(비교집단: 의료·정신건강·학교 사회복지사) 이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 유형 중 중간 수준의 직무스트레스 집단과 비교해 낮은 수준의 직무스트레스 집단에 속할수록 이직의도는 더 낮아지고, 반대로 높은 수준의 직무스트레스 집단에 속할수록 이직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 유형을 분류하고, 사회복지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직무특성이 직무스트레스 유형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이를 포함한 직무스트레스 유형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는 점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influence of the types of social workers' job stress on their intention to change jobs. To this end, the data from the Social Worker Panel Survey (2022) of the Korean Social Workers Association were used. The study subjects were 4,633 people, including 4,021 general social workers and 612 social workers in the medical, mental health, and school fiel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as a result of the latent profile analysis of social workers' job stress, three types (low-level job stress group, medium-level job stress group, and high-level job stress group) were finally selected. Second, the more social workers had supervision experience, the more positive the degree of compensation adequacy was, and the more positive the workplace atmosphere was regarding work-life balance,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belong to the low-level job stress group (comparison group: medium, high-level job stress group). Third, the younger the social worker, the more often he or she does not have an actor, the more often he or she is not a full-time employee, the more negative the level of compensation adequacy, the more negative the workplace atmosphere is regarding work-life balance, and the more often he or she is a general social worker (comparative group: medical, mental health, and school social workers), the higher the intention to quit. Fourth, The more one belongs to a job stress group, the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becomes. Conversely, the more one belongs to a high level job stress group, the higher the turnover intention appea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types of job stress of social workers, analyze the influence of social workers' sociodemographic and job characteristics on the types of job stress, and verify the influence of job stress types, including these, on turnover inten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형하(Hyoung-Ha Lee). (2024).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 유형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리뷰, 9 (3), 375-404

MLA

이형하(Hyoung-Ha Lee).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 유형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리뷰, 9.3(2024): 375-4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