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두 갈래의 기억 - 민주화 이후 국가폭력 피해자의 구술사와 자전소설 비교 연구

이용수 139

영문명
Two Forked Memories :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al Modes of Genocide Cases of Victims Post-Democratization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김요섭(Yo-Sub Kim)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97집, 365~410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전쟁을 전후한 시기에 일어난 제노사이드 사건에 대한 재현이 민주화 이후 한국사회의 이행기 정의 국면에서 어떻게 달라져 왔는가를 살핀다. 이를 위해서 소설과 구술사라는 두 개의 재현양식을 핵심에 두고 이를 주요한 작가와 저작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소설, 문학적 재현에서는 제노사이드가 은밀한 형태로 발화되던 것에서 점차 공식적 언어로 형상화된다. 이러한 변화는 특히 자전 소설들의 등장으로 절정에 이른다. 우회적인 재현은 공식적인 발화가 금지된 시기에 작가와 작품이 사건을 기억하는 핵심적 형식이었다. 하지만 민주화 이후 소설은 과거를 기억하는 주체의 형상화에 대한 논의와 보고서와 연구 등과 차별화되는 재현의 전략을 고민한다. 구술사는 민주화 이후 증언에 대한 억압이 약해짐에 따라서 본격적으로 등장할 수 있었는데, 이 시기 자료집으로서의 성격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면서 체계적이지 않은 형태가 그 자체로 증언의 형식이 된다. 하지만 이러한 경향은 구술사 연구가 진전됨에 따라서 피해자의 생애에 대한 구술로 확장되면서 달라진다. 생애를 중심으로 한 서술은 피해자를 재현의 주체로 내세우지만, 동시에 그들이 독립적인 저자로 존재해온 지점들은 비가시화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전문화와 체계화에 의한 형식의 분할로 설명할 것이다. 이처럼 소설과 증언이 형식적으로 전문화되고 분리되는 양상 속에서도 이 두 형식이 뒤엉키는 형태의 재현이 나타나기도 했다. 형식적으로 혼란스러운 이러한 형태의 재현들은 아마추어적인 실수가 아니라, 피해자이자 작가가 가지고 있는 기억에 대한 윤리적 의식을 반영한 결과였다. 이러한 기억 윤리의 혼란스러운 형상화는 작가적 역량의 반영이 아니라 사회적 입장과 연결되어 있었다. 특히 가족 집단과 같은 가까운 이들 사이의 폐쇄적 관계를 강조하게 됨으로써, 역설적으로 소설과 구술사에서 나타난 전문화가 폐쇄성을 강화하는 것이 아니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the representation of genocide cases that occurred around the time of the Korean War has changed in the transitional justice phase of Korean society after democratization. To this end, it focuses on two representational modes, novels and oral history, and examines them through the examples of major authors and works. In literary representation, genocide, which was initially expressed in a covert manner, gradually becomes formalized in official language. This change reaches its peak with the emergence of autobiographical novels. Indirect representation was a key form for authors and works to remember the events during the period when official discourse was prohibited. However, after democratization, novels explore strategies of representation that differentiate them from reports and studies, focusing on the formation of subjects who remember the past. Oral history could emerge in earnest after democratization as the suppression of testimonies weakened. During this period, the nature of oral history as a collection of materials appeared in a complex manner, and its unstructured form itself became a format of testimony. However, as oral history research progressed, this trend changed, expanding into oral accounts of the victims’ lives. Narratives centered on life stories position the victims as subjects of representation but simultaneously obscure the points where they existed as independent authors. This study will explain this as a division of form due to specialization and systematization. Despite the formal specialization and separation of novels and testimonies, forms of representation where these two modes intertwine also appeared. These formally chaotic representations were not amateur mistakes but reflected the ethical consciousness of memory held by the victims and authors. This chaotic embodiment of memory ethics was connected to social positions rather than a reflection of the authors’ capabilities. By emphasizing the closed relationships among close individuals, such as family groups, it paradoxically shows that the specialization seen in novels and oral history did not reinforce closure.

목차

1. 들어가며
2. 소설, 은밀한 말하기에서 역사성의 재구성으로
3. 구술, 사건의 증언과 생애사 사이
4. 작가 혹은 피해자 - 얕은 관계와 두터운 관계의 엉킴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요섭(Yo-Sub Kim). (2024).두 갈래의 기억 - 민주화 이후 국가폭력 피해자의 구술사와 자전소설 비교 연구. 한국문학논총, (), 365-410

MLA

김요섭(Yo-Sub Kim). "두 갈래의 기억 - 민주화 이후 국가폭력 피해자의 구술사와 자전소설 비교 연구." 한국문학논총, (2024): 365-4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