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시대 사대부 음악으로서의 금가(琴歌), 그 개념과 유형
이용수 137
- 영문명
- The Concept and Types of Geumga as the Sadaebu's Music in the Chosun Dynasty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류속영(Sok-Young Ryu)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97집, 85~134쪽, 전체 5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8,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유교적 예악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일상 생활 속에서 음악은 중요한 비중과 위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들이 즐겨 향유한 음악 중의 하나가 금가이다. 이 논문에서는 사대부 문집을 주 대상으로 삼아 여기서 추출되는 금가라는 용어의 용례들을 분석함으로써, 금가의 개념을 정립하고 그 연행 방식에 대해서도 좀더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했다.
오늘날 국어사전에는 금가를 “거문고에 맞추어 부르는 노래”라고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오히려 금가의 실상을 파악하는 데 장애 요인이 된다. 우선, 금가에 동원된 악기에는 거문고뿐만 아니라 가야금, 비파, 양금, 해금 등 다양한 현악기도 포함되기 때문이다. 둘째, 금가는 노래 갈래가 아니라 연행 갈래에 속한다는 사실에 유의해야 한다. 금가는 말 그대로 ‘금+가’로 이루어진 대등적 합성어인 것이다. 금이라는 악기 연주를 뜻하는 ‘탄금(彈琴)’과, 노래를 부른다는 뜻의 ‘창가(唱歌)’, 이 두 가지 뜻이 금가라는 용어의 개념을 형성한다. 따라서 금가는 탄금과 창가라는 두 가지 연행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음악적 연행을 뜻하는 말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금가는 연행 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탄금과 창가를 혼자서 맡아 하는 자탄자창형과, 두 사람 이상이 두 연행을 분담하는 탄창분담형이 그것이다. 사대부들은 주로 자탄자창형 금가 연행을 택했다. 이를 통해 탄금에 대한 음악적 소양을 쌓고 필요에 따라 여기에 창가를 곁들임으로써 거기서 촉발되는 음악적 흥취를 한껏 누리고자 했다. 그러나 사대부들이 탄창분담형 금가의 연행자로 직접 나서는 경우는 흔치 않았다. 주로 수용자의 입장에서 금객과 가객, 혹은 기생 등의 전문음악인들이 제공하는 탄창분담형 금가를 들어서 향유하는 방식을 택했다. 이 유형의 금가는 사대부들에게서 취미의 영역이 아니라 예술적 감상의 대상이었기 때문이다.
탄금과 창가의 결합 연행을 뜻하는 용어로는 금가 외에도 다양한 대용어들이 사용되었지만, 그 중에서 가금과 현가의 경우 금가와의 관계 속에서 미묘한 차이점을 보이기도 한다. 19세기 중인 가객 안민영은 자신의 가집 『금옥총부』에서 ‘금가’ 대신, 단어의 배열이 뒤바뀐 ‘가금’이라는 용어를 일관되게 사용했다. 이는 탄금과 창가의 결합 연행에서 탄금보다는 창가의 가치를 더 우위에 두고자 하는 가객들의 집단 의식이 그렇게 표출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19세기 사대부 유학자인 유중교는 『현가궤범』에서 당대에 유행하던 금가의 음악적 가치를 부정하고, 대신에 유교 경전과 역사서의 기록으로만 남아 전하는 공자 시대의 금가를 현가라는 이름으로 복원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쾌락과 흥취 고양을 목적으로 하는 금가에 반해, 현가는 수양과 교화를 목적으로 한다는 점을 내세워 두 용어의 개념을 명확히 구별했다. 19세기 후반으로 들면 사대부 음악으로서의 금가의 위상이 심하게 흔들리고 있음을 이런 데에서 감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trie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Geumga and clarify the method of its performance in more detail. Geumga is literally an equal compound word consisting of Geum(string instrument) + Ga(song). These two meanings form the concept of the term Geumga: Tangeum, which means playing an instrument, and Changga, which means singing. Therefore, Geumga refers to a musical performance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two performances: Tangeum and Changga.
Geumga is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method of performance. One is called Jatanjachang-type, in which one person plays the instrument and sings at the same time. The other is Tanchangbundam-type, in which two or more people share two performances. Sadaebu mainly chose to perform Jatanjachang-type. It was not common for Sadaebu to come out directly as performers of Tanchangbundam-type. Mainly from the standpoint of the audience, they preferred to the way they listened Geumga played by pro-musicians, Geumgaek(music instrument player) and Gagaek (singer) or Gisaeng.
In addition to Geumga, various counter words were used, but Gageum and Hyeoga also show subtl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with Geumga. In the 19th century, singer Ahn Min-young consistently used the term Gageum in his book 『Geumokchongbu』. This is the expression of a consciousness that values the performance or artistic value of Changga more highly than that of the Tangeum.
On the other hand, Yujunggyo tried to restore Geumga of the Confucius period, which was conceptualized in the form of a historical event in the 『Hyeongagwebeom』 to the name of Hyeonga. He established the logic that Hyeonga was differentiated in that it was used as a means of cultivation and edification. In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it can be detected from this that the status of Geumga as the music of Sadaebu is severely shaken.
목차
1. 서론
2. 결합 연행으로서의 금가
3. 연행 방식에 따른 금가의 유형
4. 금가의 다른 이름, 가금(歌琴)과 현가(絃歌)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람』의 편찬 의도와 전승의 의미
- 조선시대 사대부 음악으로서의 금가(琴歌), 그 개념과 유형
- 낙선재본과 연대본에 공통 수록된 이야기로 본 한글본 『어우야담』 이본의 번역 특징
- 김수영의 시적 탈분단화 양상
- 박목월의 후기 시에 나타난 ‘달관’의 의미 연구 - 동양적 일원론과 기독교적 정신의 공존을 중심으로
- 내셔널리즘을 횡단하는 ‘비(非)국민’의 시선 - 김사량의 「향수」에 나타나는 아편 중독 모티프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논총 제97집 목차
- 김성일 촉석루시의 시사적 위치와 문화적 기억의 실체
- 『용궁의 사자[龍宮の使者]』에 드러나는 『토끼전』의 오토기바나시[御伽噺]화 양상
- 김준오 『시론』의 판형별 변화 양상 연구 - 초판(1982)에서 4판(1997)까지를 중심으로
- 두 갈래의 기억 - 민주화 이후 국가폭력 피해자의 구술사와 자전소설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재미 한인 1세대가 상상한 19세기 역사, <홍중래전>
- 비장애인 중심 사회의 삼설기본 <노처녀가> -『모든 몸은 평등하다』(2012)를 참고하여-
- 퇴계와 율곡 한시에 나타난 자연 공간과 자연물의 성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