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무대 위의 자유와 거울 속 부조리 -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에 관한 일고찰

이용수 28

영문명
The Freedom on Stage and the Absurdity in the Mirror : Revisiting Yang Gui-ja’s I Wish for What is Forbidden to Me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손유경(You-kyung Son)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37집, 315~34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에 구사된 소설적 테크닉이 작가의 탐독가적 면모와 밀접히 관련된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여성 복수극이라는 서사의 표면과 외젠 이오네스코의 부조리극 「수업」이라는 서사의 심부를 고르게 주목함으로써, 작가의 페미니스트 시각과 부조리한 폭력에 대한 염오(厭惡)의 감정이 서로 길항하며 교차하는 양상을 밝혀본 것이다. 복수극의 주재자 강민주는 대중을 상대로 하는 강렬한 퍼포먼스인 백승하 납치극을 기획하고 위악적 미러링을 실천함으로써 하나의 작은 세상을 스스로 개시하는 절대적 자유를 꿈꾼다. 자신이 꾸민 무대 위에서 강민주는 자유를 옹호하지 않으나 자유롭고, 목표에 따라 다만 행하며 매 국면 전능감을 만끽한다(2장). 강민주의 이 같은 퍼포먼스에 삽입된 외젠 이오네스코의 「수업」은 전체 서사와 유사관계를 형성하는 일종의 거울 텍스트인데, 전능감을 바탕으로 개시할 자유를 행사하던 강민주의 얼굴에 「수업」에 등장하는 무자비한 교수의 형상이 포개짐으로써, 이 거울 텍스트는 두 남자의 파괴된 영혼이 상징하는 무자비하고 부조리한 현실을 지시하게 된다. 「수업」이라는 거울 텍스트와 백승하・황남기가 남긴 기록들은, 죽어서 실패한 강민주의 이야기가 아니라 죽은 강민주에게 영혼을 잠식당한 두 인물의 이야기로 이 소설을 기억하게 한다(3장). 그러나 「수업」이라는 극중극이 시작되자 강민주의 개시자・초월자적 면모는 위축되고 고유의 전능감은 백승하에게로 넘어간다. 강민주의 실수는 백승하에게 매료된 데 있지 않고, 극중극의 주도권을 백승하의 손에 쥐어 준 데 있다. 강민주가 포기한 것은 다름 아닌 개시할 자유였다. 텍스트의 가장 바깥층을 이루고 있는 제목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은 폴 엘뤼아르의 시 「커브」의 전문을 따온 것인데, 이 제목이야말로 작가 양귀자가 강민주에게 부여했던 자유와 파격의 어떤 한계상황을 지시하는 것이다(4장). 결국 「수업」이라는 거울에 비친 강민주의 얼굴에 교수의 형상이 겹쳐지는 것도, 「수업」이라는 극중극을 연습하는 과정이 강민주의 전능감을 훼손한 것도, 작가 양귀자의 탐독가적 면모를 고려하지 않고는 제대로 이해하기 어려운, 서사의 불편한 진실들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intertwining of the novelistic techniques articulated in I Wish for What is Forbidden to Me with Yang Gui-ja’s voracious reading, with a particular focus on how Yang’s feminist perspective and the abhorrence of absurd violence intersect by closely observing the surface narrative of the female revenge drama and the underlying narrative of Eugene Ionesco’s theatre of the absurd The Lesson. The protagonist of the revenge drama, Kang Min-joo, dreams of absolute freedom to create her own world by organizing the kidnapping of Baek Seung-ha, performing intensely for the public, and practicing malicious mirroring. Kang Min-joo experiences a sense of omnipotence throughout, despite not promoting freedom in her performances. The inclusion of Eugene Ionesco’s The Lesson serves as a mirror-text, reflecting the ruthless and absurd reality represented by the destruction of the two men’s souls. The mirrored text of The Lesson, and the records kept by Baek Seung-ha and Hwang Nam-ki remind us of Yang’s novel not as a story of a deceased and failed Kang Min-joo, but as a tale of two characters whose souls have been consumed by the deceased Kang Min-joo. However, once the drama of The Lesson begins, Kang Min-joo’s initiating and transcendent persona is diminished, and Baek Seung-ha takes on a sense of omnipotence. Kang Min-joo’s mistake lies not in being captivated by Baek Seung-ha, but in introducing an additional play into the one Kang had planned and relinquishing the initiative to Baek Seung-ha. The title of the text’s outermost layer, “I Wish for What is Forbidden to Me,” is derived from Paul Eluard’s poem “Curve.” This title signifies the boundaries of the freedom and unconventionality that Yang granted to Kang Min-joo. In conclusion, the multilayered narrative of I Wish for What is Forbidden to Me emerges from the author’s feminist vision, her enduring disdain for the absurd violence that destroys the human soul, and her extensive and voracious reading.

목차

1. 탐독가의 현실 인식
2. 무대 위 강민주의 퍼포먼스
3. 『수업』이라는 극중극과 부조리의 반사경
4. 커브 돌기의 어려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유경(You-kyung Son). (2024).무대 위의 자유와 거울 속 부조리 -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에 관한 일고찰. 구보학보, (), 315-348

MLA

손유경(You-kyung Son). "무대 위의 자유와 거울 속 부조리 -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에 관한 일고찰." 구보학보, (2024): 315-3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