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위탁부모의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Influence of Foster Parents' Parenting Efficacy on Rearing Behavior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김민정(Min J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4 No.4, 281~29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위탁부모의 양육효능감과 위탁부모의 양육행동 간의 관계 및 위탁부모의 양육효능감이 위탁부모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위탁아동 양육에 작용하는 위탁부모의 심리적 변인들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위탁부모의 교육측면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 위탁부모 99명이다. 연구문제는 위탁부모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의 관계는 어떠한가? 위탁부모의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설명력은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위탁부모의 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온정ㆍ수용적인 양육행동을 보이며 위탁부모의 양육효능감이 낮을수록 거부ㆍ제재적, 허용ㆍ방임적 양육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탁부모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위탁부모 양육효능감의 설명력을 살펴본 결과 위탁부모의 전반적 양육효능감과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효능감이 높을수록 온정 ㆍ수용적 양육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탁부모의 전반적 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위탁부모는 거부ㆍ제재적 양육행동을 덜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훈육능력에 대한 효능감이 높을수록 위탁부모는 거부ㆍ제재적 양육행동의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위탁부모 양육효능감 요인 중 위탁부모의 허용ㆍ방임적 양육행동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은 나타나지 않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and the influence of foster parents' parenting efficacy and foster parents' rearing behavior. The subjects were 99 foster parents who live in Daeje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s the foster parents' parenting efficacy grew, the foster parents tended to show an affectionate-reception rearing behavior. As the foster parents' parenting efficacy lowered, the foster parents tended to show rejection-restriction and permissiveness-nonintervention rearing behaviors.
Second, as the foster parents' overall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efficacy about communication ability grew, the foster parents tended to show an affectionate-reception rearing behavior. As the foster parents' overall parenting efficacy grew, the foster parents tended to show less rejection-restriction rearing behavior. As the foster parents' parenting efficacy about ability to coach the foster children grew, the foster parents tended to show a rejection-restriction rearing behavior. However, there was no relevant foster parents' parenting efficacy variables found in the foster parents' permissiveness-nonintervention rearing behavior.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의 부모-자녀의사소통과 자아분화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
- 이혼가족자녀의 학교적응에 가족보호요인이 미치는 영향
-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 치료놀이를 적용한 대학생 예비부모교육프로그램이 대인관계 및 자기의식에 미치는 효과
- 부모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 보육교사의 영유아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사례관리실천 방안에 관한 연구
- 국내 입양아동의 자아개념에 관한 종단연구
- 위탁부모의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가족요인과 또래지지가 자기효능감 및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서비스 이용을 통한 정착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 일반위탁가정 아동의 초기 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
- 이혼ㆍ재혼가정 아동의 공격ㆍ위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경로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