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의 부모-자녀의사소통과 자아분화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7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elf Differentiation on an Adolescent's Anxiety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김갑숙(Gab Sook Kim) 전영숙(Young Sook Jeon)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4 No.4, 79~9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성별에 따른 부모의사소통, 자아분화, 불안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고, 불안에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남학생 102명, 여학생 15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부모의사소통, 자아분화, 불안척도를 사용하고, 결과분석을 위하여 t-test,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모 의사소통, 가족투사, 불안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어머니와 의사소통이 원활하고, 부부갈등이나 위기가 자녀에게 투사되는 정도가 적다고 느끼나, 불안수준은 높았다. 둘째, 남학생의 경우 부모의사소통은 자아분화의 하위영역인 인지 대 정서, 가족투사, 정서단절, 가족퇴행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불안은 부의사소통과 상관이 없었으나, 모의사소통과는 부적인 상관이 있었다. 여학생의 경우 부 의사소통은 가족투사, 정서단절, 가족퇴행과 정적인 상관이, 불안과는 부적상관이 있었다. 모 의사소통은 인지 대 정서, 가족투사, 정서단절, 가족퇴행과 정적인 상관이, 불안과는 부적인 상관이 있었다. 셋째, 남학생의 경우 모 의사소통, 인지 대 정서기능, 가족퇴행이 불안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설명력은 29.3%였다. 여학생의 경우는 모 의사소통, 가족퇴행이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설명력은 32.5%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elf differentiation on the adolescent's anxiety. The subjects were 258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The measurement devices for the study were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cale, self-differentiation scale, and Beck's anxiety inventory. The study conducted a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communication, family projection, and anxiety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gards to sex. Second, for male students, parents' communication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subcategory factors of self-differentiation except self integration. Anxiety has no correlation with the father's communication, but it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mother's communication. For female students, parents' communication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family projection, emotional break and family retrogress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nxiety. The mother's communication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subcategory factors of self-differentiation except self integrat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nxiety. Third, for male students, cognitive emotional function, mother's communication, and family retrogression have a negative effect on anxiety, and these factors explain 29.3% of the total variances to anxiety. For female students, mother's communication and family retrogression have a negative effect on anxiety, and these factors explain 32.5% of the total variances to anxie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의 부모-자녀의사소통과 자아분화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
- 이혼가족자녀의 학교적응에 가족보호요인이 미치는 영향
-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 치료놀이를 적용한 대학생 예비부모교육프로그램이 대인관계 및 자기의식에 미치는 효과
- 부모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 보육교사의 영유아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사례관리실천 방안에 관한 연구
- 국내 입양아동의 자아개념에 관한 종단연구
- 위탁부모의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가족요인과 또래지지가 자기효능감 및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서비스 이용을 통한 정착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 일반위탁가정 아동의 초기 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
- 이혼ㆍ재혼가정 아동의 공격ㆍ위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경로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