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반위탁가정 아동의 초기 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Initial Life Experience of Children Placed in Non-kinship Foster Homes Children's Life in Long-Term Foster Care
발행기관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저자명
장윤영(Yoon Young Jang)
간행물 정보
『한국가족복지학』Vol.14 No.4, 179~209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2.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기위탁보호를 계약한 일반위탁가정 아동의 초기 생활에 대한 연구로써, 아동의 안정적 적응과 지속화, 친가정 복귀 경험에 관하여 탐구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위탁보호 초기 과정에서 위탁아동, 위탁부모와 친부모에게 효과적인 개입과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초 자료의 도출이다. 본 연구는 ‘장기위탁보호를 계약한 일반위탁가정 아동의 초기 생활 경험은 어떠한가?’라는 중심된 질문에 대한 세부적 고찰이며, 연구 참여자는 3년 이상의 장기위탁보호가 필요한 일반위탁보호아동 11명과 그 아동의 위탁부모 10명으로 총 21명이었다. 연구 참여자들을 심층 면접하여 수집된 자료는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개방 코딩, 축 코딩, 선택 코딩을 통해 최종적으로 177개의 개념과 36개의 범주, 12개의 상위범주를 도출하였다. 또한 범주들에 대한 이론적 모델과 과정을 분석한 후 유형별 특성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 고찰한 장기위탁아동의 초기 생활 경험은 위탁아동이 위탁부모를 포함한 위탁가정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적응 과정이었다. 이 과정에서 아동은 위탁부모의 역할, 위탁가정 친자녀와 관계, 위탁가정 구성원과의 공감대 형성, 아동의 문제행동, 친가정과의 관계라는 요인들에 따라 보호의 안정적 적응과 지속성, 친가정 복귀 여부가 달라졌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실천과 정책, 연구에서의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und factors influencing the stable adaptation, persistence in foster home, and return to birth parents by exploring the initial life experiences of children in long-term foster ca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btain basic data for effective interventions, and service developments to children in foster care, foster parents, and the birth famil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1 persons (10 foster parents and 11 children) who had been part of long-term foster care for more than3 years. The collected data were conducted in the procedure of clarifying characteristics as per types, analyzing structure, and categorizing the concepts through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by grounded theory (Strauss and Corbin, 1990). As a result, 177 concepts, 36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were induced in the course of classifying and integrating these sub-categorie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itial experiences of children in long-term foster care were as follows: “positive role of foster parents,” “breakdown and overcome of foster parents,” “interaction of children and foster hom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the foster parents’ children,” and “low contact with birth parents.” Therefore, the main goals of foster care must be to set stability, successiveness of foster care services, and reunification with birth family according to the above factors.

목차

Ⅰ. 서 론
Ⅱ. 장기위탁보호와 관련한 선행 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윤영(Yoon Young Jang). (2009).일반위탁가정 아동의 초기 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 (4), 179-209

MLA

장윤영(Yoon Young Jang). "일반위탁가정 아동의 초기 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4(2009): 179-2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