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
- 영문명
-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the Parenting Behavior of Grandparents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이선형(Sun Hyung Lee) 이경림(Kyung Rim Lee) 임춘희(Choon Hee Lim)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4 No.4, 57~7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조손가족의 조부모가 손자녀를 양육하면서 받는 양육스트레스가 부정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만족도가 어떻게 부정적 양육행동을 중재하는 가를 살펴봄으로써 조부모의 부정적인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손자녀를 양육하고 있으면서 자신을 조손가족이라고 응답한 조부모 211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는 부정적 양육행동을 높이는데 특히 부모역할에 대한 스트레스 변인은 방임과 같은 부정적인 양육행동을 가장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부모의 부정적 양육행동을 하위변인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지역아동센터 서비스는 조부모의 의료적 방임을 낮추는 식으로 조손가족의 사회적 지지로 기능함이 부분적으로 증명되었다. 또한 조손가족에 대한 지역아동센터의 사회적 지지를 지지원과 지지내용으로 구분하였을 때 대체적으로 지지내용인 보호나 학습, 문화 서비스 등에는 만족하였으나 지역아동센터를 통한 친구관계나 대인관계 등에는 덜 만족하는 것은 지역아동센터가 서비스 내용에 대한 지원뿐 아니라 이용아동이 센터내에서 맺는 인간관계적 측면에 대한 관심 또한 이루어져야 함을 나타낸다 하겠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the parenting behavior of grandparents with grandchildren attending a community child care center. This study used raw data offered by the Corporation Leftovers Love Sharing Community, and 211 grandparents who were head of the family were analyzed. SPSS 14.0 for Windows was used to analyze data for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parenting stress of grandparents increased the negative parenting behavior. The stress from undertaking the parents' role was the most serious, so it is necessary to draw up plans to diminish this kind of stress for the grandparents.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tress from undertaking the parents' role and satisfaction with friends’ relationship service provided by the community child care center for the children were significant factors on negative parenting behavior. Therefore, it was partially demonstrated that social support is an interven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The parenting stress of grandparent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ducation, and the moral and medical daily life of child neglec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ervice by the community child care center is a particularly important social support for grandparents with grandchildren attending the centers and that effective measures for grandparents need to alleviate parenting stress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의 부모-자녀의사소통과 자아분화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
- 이혼가족자녀의 학교적응에 가족보호요인이 미치는 영향
-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 치료놀이를 적용한 대학생 예비부모교육프로그램이 대인관계 및 자기의식에 미치는 효과
- 부모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 보육교사의 영유아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사례관리실천 방안에 관한 연구
- 국내 입양아동의 자아개념에 관한 종단연구
- 위탁부모의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가족요인과 또래지지가 자기효능감 및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서비스 이용을 통한 정착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 일반위탁가정 아동의 초기 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
- 이혼ㆍ재혼가정 아동의 공격ㆍ위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경로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