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보육교사의 영유아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이용수 1

영문명
A Study of Child Care Teachers' Recognition of Infants’and Preschoolers' Mental Health
발행기관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저자명
박지연(Ji Yeon Park) 정민정(Min Jung Chung)
간행물 정보
『한국가족복지학』Vol.14 No.4, 237~26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2.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보육시설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영유아 정신건강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영유아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갖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경기도 등 수도권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2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보육교사들은 영유아의 정신건강 문제행동에 대해 보통보다 조금 높게 문제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보육교사들에게서 영유아의 정신건강 문제행동 발생에 대해 54%가 경험이 있다고 하였으며, 셋째, 보육시설에서 영유아 정신건강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보육교사들은 1명의 보육교사를 제외한 전체가 보통이상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영유아를 대상으로 정신건강 교육을 실시해야 하는 이유로는 영유아의 정신건강 문제행동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고,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정신건강 교육의 실시는 부모교육과 연계하여 가정과 보육시설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gain interest and help understand infants’ and preschoolers' mental health by surveying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and to examine their level of awareness on infants’ and preschoolers' mental health. The survey was completed by some 211 child care teachers working at an infants and preschool care center in Seoul and the surrounding province of Gyeonggi.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mean analysis, χ2 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WIN (ver 13.0). The level of awareness of infants’ and preschoolers' mental health by nursery school teachers was average or slightly higher than average. Of the nursery school teachers, 54% had experienced infants’ and preschoolers' mental health problems in the past. More than half of those surveyed showed slightly higher concerns over infants’ and preschoolers' problem behavior. All except one nursery school teacher expressed the necessity to provide adequate training on child mental health with concerns higher than average. The biggest reason for needing education on infants’ and preschoolers' mental health is due to the increased occurrence of problem behavior. Mental health education was thought to be the most effective when provided inclusively with parent education, and showed some variance of opinion on how frequently the education should be give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지연(Ji Yeon Park),정민정(Min Jung Chung). (2009).보육교사의 영유아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 (4), 237-260

MLA

박지연(Ji Yeon Park),정민정(Min Jung Chung). "보육교사의 영유아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4(2009): 237-2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