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입양아동의 자아개념에 관한 종단연구
이용수 9
- 영문명
- A Longitudinal study on the Self-Concept Development of adopted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변미희(Mi Hee Byun) 권지성(Ji Sung Kwon) 안재진(Jae Jin Ahn) 최운선(Woon Sun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4 No.4, 261~27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입양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입양아동의 자아개념 발달에 관한 종단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 아동은 국내 공개입양아동 103명이며, 여아 60(58%)명, 남아 43(42%)명이고, 만 6세 미만은 44(43%)명 만 6세 이상은 59(57%)명이며, 조사원이 입양가정을 방문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첫 번째로 횡단조사 결과 입양 유아의 자아개념은 국내의 비입양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표준화된 자아개념 점수와 비교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입양 초등학생은 표준화된 초등학생 자아개념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두 번째로 입양아동 자아개념에 대한 종단 분석 결과 입양아동이 성장함에 따라 비입양아동의 자아개념과 유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입양아동의 자아개념은 입양유형, 연장아 여부, 입양한 형제 자매 유무 등 입양관련 특성보다는 비입양아동과 동일하게 성별, 연령 등이 자아개념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입양유아의 자아개념은 양육태도가 민주적인 경우가 통제적인 경우보다 자아개념의 하위 영역중에서 부모관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고, 양육환경의 경우 양육환경이 좋은 경우가 그렇지 못한 경우보다 일반 자아개념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evelopmental patterns of self-concept of Korean adopted children. The data employed is the second wave data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adopted children, of which 103 adopted children older than 4 years were used for the analysis. Date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opted children under 6 years of self-concept did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 with general children. adopted children from 7 to 10 years of self-concept ha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general children
Second, Accordinng to adopted children developed from enfant to child, self-concept of adopted children were similar to general children.
Third, the motives for adoption, age at adoption, adopted brothers and sisters were not related to self-concept of adopted children. But self-concept of adopted children has a difference sex and age signiticantly.
Finally, self-concept adopted children under 6 years of self-concept has a difference parenting attitud and environment signiticantly.
목차
Ⅰ. 서 론
Ⅱ. 입양아동의 자아개념에 관한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의 부모-자녀의사소통과 자아분화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
- 이혼가족자녀의 학교적응에 가족보호요인이 미치는 영향
-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 치료놀이를 적용한 대학생 예비부모교육프로그램이 대인관계 및 자기의식에 미치는 효과
- 부모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 보육교사의 영유아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사례관리실천 방안에 관한 연구
- 국내 입양아동의 자아개념에 관한 종단연구
- 위탁부모의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가족요인과 또래지지가 자기효능감 및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서비스 이용을 통한 정착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 일반위탁가정 아동의 초기 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
- 이혼ㆍ재혼가정 아동의 공격ㆍ위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경로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