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동의 발성을 촉진시키는 성인의 반응

이용수 84

영문명
Adult Verbal Responses Facilitating Child Vocalization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하승희(Seunghee Ha) 이라연(Rayeon Lee)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9. no.2, 398~408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아동과 성인 간의 일련의 상호작용에서 아동 발성 이후 성인 반응의 특징과 아동 발성을 촉진시키는 성인의구어 반응 유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12-18개월 된 일반 아동과 가족을 대상으로 하였다. 언어 환경 분석기(Language ENvironment Analysis, LENA)를 통해 수집된 녹음자료에서 차례 주고 받기 수가 높게 나타난 상위 20개의 자료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아동발성은 비음절성 옹알이와 음절성 옹알이로 구분하였으며 발성 유형별 하위 범주로 분류하였다. 성인의 구어 반응 유형은 10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아동의 비음절성 옹알이와 음절성 옹알이 이후 성인은 다른 유형의 반응을 보였다. 모방하기, 재구성하기, 확장하기는 음절성 옹알이 중 2음절 이상의 음절성 발성 이후 높은 반응률을 보였다. 성인 반응 전후로 아동 발성을 살펴본 결과 성인이 인정하기, 재구성하기와 같은 구어 반응을 보였을 때 아동은 이전 발성에 비해 보다 더 진전된 발성 형태를 산출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연구는 아동과 성인은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상호작용 함을 보여주며 이러한 양방향적인 관계는 아동의 발성 및 초기 말-언어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adults in the vicinity of children respond differently to various child vocalization types within three-event sequences of “child vocalization-adult verbal response-child vocalization” occurring in everyday life. Additionally, this study examined the types of adult verbal responses that facilitate child vocalizations within the series of three-event sequential interactions between children and adults. Methods: Data was collected using the LENA (Language ENvironment Analysis) from 30 children aged 12 to 18 months and their families. Three-event sequences of interactions between children and adults were selected from twenty 5-minute recorded segments with the highest conversational turn counts. Child vocalizations before and after adult verbal responses were broadly classified into canonical babblings and non-canonical babblings, and then coded into subcategories for each babbling type. Adult verbal responses were classified into different pragmatic types. Results: Adults responded differently depending on children’s non-canonical and canonical babblings. Among pragmatic types of adult verbal responses, imitation, recast, and expansion were prominently observed following canonical babblings with more than two syllables. Adult verbal responses such as acknowledgment and recast facilitated children in producing more advanced vocalization forms. Conclusion: This study supports bi-directional relationships in interactions between children and adults and provides insights into which child-adult vocal exchanges facilitate child vocalizations and early speech-language development.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승희(Seunghee Ha),이라연(Rayeon Lee). (2024).아동의 발성을 촉진시키는 성인의 반응.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9 (2), 398-408

MLA

하승희(Seunghee Ha),이라연(Rayeon Lee). "아동의 발성을 촉진시키는 성인의 반응."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9.2(2024): 398-4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