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중언어 사용의 인지적 이득 탐구

이용수 53

영문명
Exploring Bilingual Benefits: Verbal and Nonverbal Information Updating in Working Memory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정고은(Koeun Jung) Azzaya Luvsantseren 민윤기(Yoonki Min)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9. no.2, 310~322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이중언어 사용의 작업기억 정보 업데이트에 있어서의 이득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세 그룹, 총 60명의 피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다(이중언어-유사(20명), 이중언어-몽골어 우세(20명), 단일언어(20명)). 피험자들은 언어 또는 비언어 자극으로 구성된 작업기억 업데이트 과제를 수행하였다. 작업기억에서 업데이트 되는 정보는 지각적입력 또는 장기기억에 기반하였다. 결과: 언어, 비언어 업데이트 과제에서 모두 이중언어 사용의 인지적 이득을 확인하였다. 언어, 비언어 과제의 이중언어 이득 양상은 비슷한 패턴을 나타냈다. 하지만 이 인지적 이득은 업데이트 되는 정보의 기반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정보가 지각적 입력에 근거할경우 두 이중언어 집단 모두 이득을 보였지만, 장기기억에 근거할 경우에는 이중언어-유사 집단만 이득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작업기억 업데이트에 있어서 이중언어 사용의 인지적 이득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이중언어 사용자들이 일반적 정보처리 과정에서의 인지적 통제를 최적화 한다는 가설을 지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confirm the cognitive advantages of bilingualism specifically in the domain of working memory updating. Methods: A total of sixty adults (aged 20 to 26) participated in the study,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bilingual status: Bilingual-similar (n = 20), Bilingual-Mongolian weighted (n = 20), and Monolingual (n= 20). Participants completed working memory update tasks involving verbal or nonverbal stimuli. Information updated in working memory could be derived from perceptual input or long-term memory. Results: Bilingual advantages in working memory updating was found in both verbal and nonverbal task. The advantages in working memory updating depending on stimuli (verbal or nonverbal) exhibited similar patterns. However, the patterns of bilingual advantages varied depending on the source of information (perceptual input or long-term memory). While both bilingual groups showed advantages when the information source was perceptual input, only the Bilingual-similar group showed advantages when the source was long-term memory. Conclusion: The study provides further empirical support for the cognitive benefits associated with bilingualism, particularly in the realm of working memory updating. The current findings underscore the notion that bilinguals optimize domain-general cognitive control.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information management in bilingual individuals across different information resource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