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간 간격 및 간섭효과 조절이 실어증 환자의 따라말하기 및 이름대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73

영문명
Effects of Time Interval and Interference Manipulations on Word-Level Repetition and Naming Performance in Persons with Aphasia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최유진(Yoo Jin Choi) 성지은(Jee Eun Sung) 최수진(Sujin Choi)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9. no.2, 339~354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논문은 TALSA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시간 간격 및 간섭효과를 통한 작업 기억 부하 조절을 통해 국내 실어증 환자들의 따라말하기 및 이름대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실어증 환자 13명, 이와 나이, 교육수준을 맞춘 대조군 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단어 및 비단어 따라말하기의 경우 2음절, 3음절 각각 10개씩에 시간 지연 및 간섭효과 조건 3가지씩 총 60개 단어를 들려주었고, 그림 이름대기의 경우 2음절, 3음절 단어 각각 10개씩에 시간 지연 및 간섭효과 조건 3가지씩총 60개단어그림을화면에하나씩제시하였다. 결과: 본연구에서는시간간격이클수록, 간섭효과가있을수록, 즉작업기억의부하가 커질수록 실어증 대상자들의 수행력이 낮아지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또한 단어보다 비단어 따라말하기에서 실어증 대상자들이 대조군에 비해 수행력이 낮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논의 및 결론: 실어증 대상자들의 작업기억 능력 손상을 확인하였으며, 인지 부하가 증가할수록 언어 산출 능력에 더 큰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n the repetition and naming ability of Korean aphasia patients by controlling their working memory load through time intervals and interference effects using the Temple Assessment of Language and verbal Short-term memory in Aphasia (TALSA) protocol. In addition, we examined the phonological and lexical-meaning processing abilities of persons with aphasia through word repetition tasks, nonword repetition tasks, and picture naming tasks to examine phonological and lexical-meaning production abilities. Methods: Thirteen native Korean speakers with aphasia participated in the study, along with twelve control group participants. The word and nonword repetition tasks were conducted under three conditions to examine the time delay and interference effects. Each condition entailed listening to each ten words of two and three syllables. Similarly, the picture naming tasks were carried out under three conditions involving viewing ten pictures of two and three syllables each. Results: This study examined how the repetition and naming ability of persons with aphasia, i.e., the ability to producing phonemes and lexical-meaning of persons with aphasia, varies when adjusting the working memory load under time interval and interference effect conditions. This study found that the difference in performance between groups was significant for both tasks. In particular, the larger the time interval, the greater the interference effect; that is, the greater the load of working memory, the lower the performance of aphasia subjec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Since the aphasia subjects have poor working memory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s the cognitive load increases, they are more affected by the ability to process phonological and semantic activation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유진(Yoo Jin Choi),성지은(Jee Eun Sung),최수진(Sujin Choi). (2024).시간 간격 및 간섭효과 조절이 실어증 환자의 따라말하기 및 이름대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9 (2), 339-354

MLA

최유진(Yoo Jin Choi),성지은(Jee Eun Sung),최수진(Sujin Choi). "시간 간격 및 간섭효과 조절이 실어증 환자의 따라말하기 및 이름대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9.2(2024): 339-3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