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어치료 전문가와 교사의 원격 협력을 통한 음운인식 및 파닉스 중재가 초등 저학년 읽기 부진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해독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43
- 영문명
- The Effect of PA Intervention through Remote Collaboration for CCK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안은솔(Eun-Sol An) 전지혜(Ji-Hye Jeon) 이민주(Min-Ju Lee) 김영태(Young Tae K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9. no.2, 269~28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언어치료 전문가와 교사의 원격 협력을 통한 음운인식 및 파닉스 중재가 초등 저학년 읽기부진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해독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표준화된 읽기 쓰기 발달 검사 결과, 백분위 점수가 10%ile 미만인 초등 저학년 다문화 읽기부진 아동 3명과 각 아동의 교사 3명을 대상으로 대상자 간 중다간헐 기초선설계를 사용하여 중재에 따른 해독 능력 향상을 살펴보았다. 실험은 기초선 단계, 중재 단계, 일반화 단계, 유지 단계로 구성되었다. 연구자는 주 2회 아동들을 직접 중재하였으며, 각 아동의 교사에게 주 1회 가이드 영상과 과제를 SNS를 통해 제공하고 피드백을 반영하며 음운인식 및 파닉스 중재를 실시하였다. 결과: 모든아동들은음운인식과단어수준의해독에서큰향상을보였다. 또한 QRW 결과, 모든아동들의원점수가전체영역에서향상되었다. 일반화 단계에서 모든 아동들은 문장 수준의 해독에서도 향상을 보였다. 유지 단계에서도 모든 아동들이 큰 유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첫째, 모든 아동들의 해독 능력이 향상되어 본 연구의 중재는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서 의의가 있다. 둘째, 두 전문가가 실제 협력을 시행하여 협력의 긍정적 효과성을 살펴봤다는 점에서 임상적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적용한 비실시간 원격 협력방식은 두 전문가 간 새로운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phonological awareness and phonics intervention through remote collaboration between SLPs and teachers on the decoding skill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ith poor reading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Methods: In this study, a multi-probe design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The subjects were 3 multicultural children with poor reading skills (grades 1-2) and 3 teachers for each child. Their reading skills were examined through tests of phonological awareness and decoding (word level) in the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hases. Additionally, tests of decoding (sentence level) were conducted in the generalization phase to examine generalization at the sentence level. In this study, SLPs provided instruction to each child twice a week and also provided guide videos to each teacher once a week for 2 months. Results: All children were found to have high improvements in decoding skills (word level) and phonological awareness skills. Additionally, as a result of standardized reading and writing test (QRW), all children’s post-intervention raw scores were improved in all areas. In the generalization phase, all children showed improvements in decoding skills (sentence level). In the maintenance phase, all children were found to have a large effect size.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phonological awareness and phonics intervention through remote collaboration between two expert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decoding skills of multicultural children with poor reading. Also, this intervention improved teachers’ teaching efficacy. Thus, the implementation of studies for collaboration between experts is suggested.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발화 표본에 나타난 3-5세 아동의 어미 사용 연구
- 이중언어 사용의 인지적 이득 탐구
- 성인과의 상호작용식 책읽기 전략에 따른 일반아동 및 어휘발달지연아동의 이야기 이해력 비교 연구
- 종단적으로 살펴본 초등 1학년 난독 학생의 문단글 읽기유창성 발달 특성
- 일반 노인의 자발화 과제 유형에 따른 단어찾기 행동의 산출 특성
- 학령전기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어휘발달지연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이야기 이해 및 이야기 문법 산출 능력과 집행기능의 관계
- 초등 1학년 어휘발달지연 아동의 읽기이해 및 읽기이해 모니터링 능력
- 초등 1학년 발달성 난독 아동과 일반 아동의 철자 쓰기 발달
- 언어치료 전문가와 교사의 원격 협력을 통한 음운인식 및 파닉스 중재가 초등 저학년 읽기 부진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해독 능력에 미치는 효과
- 음운인식 및 형태인식에 기반한 파닉스 훈련이 읽기부진 아동의 읽기 및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 음성 피로 성인에서 반폐쇄환기마스크와 말 과제를 이용한 중재의 효과
- 시간 간격 및 간섭효과 조절이 실어증 환자의 따라말하기 및 이름대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오류배제학습기반 의미자질분석 이름대기 중재가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의 언어 및 인지 능력에 미치는 효과
- 아동의 발성을 촉진시키는 성인의 반응
- 5-6세 한국 아동의 음운기억
-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의 AAC 상징유형에 따른 상징선택 능력 연구
-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Code-Switching Behaviors in Kannada-English Bilingual Adults Who Stutter
- 어머니-영유아 상호작용에서 어머니의 단서 유형에 따른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공동주의 특성
- 화자의 말속도, 청자의 성별, 연령과 말속도가 청자의 호감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
- IT 기반 화용언어 중재에 대한 다문화언어발달지도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육과정부 부장교사의 임파워먼트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기도 A시 교육지원청 관내 12개교를 대상으로
- 교육발전특구 추진과정에 나타난 일반행정과 교육행정 간 의사결정과정 분석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