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바이든 행정부의 통상정책에 대한 한국의 경제안보 외교
이용수 87
- 영문명
- South Korea’s Economic Security Diplomacy in Response to the Biden Administration’s Trade Policy : With a Focus on the 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
- 발행기관
- 한국국회학회
- 저자명
- 최영미(Youngmi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세계』제6권 3호, 793~81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바이든 행정부가 제시한 새로운 경제 협력체인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를 중심으로 그 통상정책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이 경제안보를 위해 어떠한 통상 외교 전략을 펼쳐야 하는지에 대한 분석을 그 목적으로 한다. 기존 FTA와 달리 관세 철폐와 같은 시장 접근 문제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새로운 형태의 경제 협력체인 IPEF는 국제통상질서에서의 미국의 리더십 회복과 동시에 국내 산업의 지지를 확보할 수 있는 통상정책의 수립이라는 바이든 행정부의 경제안보 전략이 반영된 결과이다. 그 의도와 관계없이 IPEF는 대외적으로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의 경제협력체로 인식되고 있는 상황 아래, 한국의 IPEF 가입 결정을 둘러싼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논쟁이 오바마 행정부 이후 지속되고 있는 미-중 주도의 경제협력체 가입을 둘러싼 논의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을 기반으로, 중국 주도의 RCEP과 미국 주도의 IPEF가 서로 배타적 관계가 아닌 상호보완적 관계라는 인식 아래, 양 협력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대표적 통상국가인 한국의 경제안보를 위한 통상 외교 전략임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trade and diplomatic strategy for South Korea’s economic security under the Biden Administration’s trade policy with priority given to the 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IPEF). As a new type of an economic initiative, the IPEF does not seek to lower tariffs or improve market access among its members as a traditional trade agreement and reflect the Biden Administration’s economic security strategy given the U.S. domestic imperatives and international dynamics. While the true intentions of the U.S. behind the IPEF remain subject to speculation, it is widely perceived as a mechanism to counterbalance China's influence in the region. Consequently, there has been considerable debate surrounding the potential benefits and drawbacks of South Korea's participation in the framework. This study finds that the IPEF case shares many of the political and economic issues developed from the U.S.-China trade competition since the Obama Administration and suggests the trade strategy for South Korea’s economic security.
목차
I. 서론
II. 경제안보의 등장 배경
III. 바이든 행정부 통상정책의 특징
IV. 한국의 경제안보 외교 전략
V.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광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관광객 친화 공감형 AI 서비스 발전 방안
- 노인복지관 이용 여성노인의 사회적 자본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
- 유아교사의 건강에 대한 소고
-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성격강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유학생 대상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의 변화에 대한 제언
- 국외입양동포 대상 한국어 교육 연구
- 간호학부 교과목 ‘고전과 인성’ 수업 운영 사례 연구
- 청소년의 기후변화 인식이 기후변화 문제해결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영향관계 탐색
- 방상시의 현대적 수용 사례 연구
- 외국인력정책에서 숙련기능인력 제도가 갖는 함의와 쟁점
- 영화 스토리텔링의 8단 구성
- 북한이탈여성의 외상 후 성장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일본 가고시마현(鹿児島県) 소주장(焼酎蔵)의 문화자원화
- 다르덴 형제 영화의 객관적 시점에 의한 시선 연출 연구
- 한국에서 역전이 연구 동향
- 기독교인 자살유가족 어머니의 자녀 사별 경험에 관한 연구
- 20세기 초 조선인 여자 일본유학생들의 도일 실천에 관한 연구
- 일본의 인구구조 변화와 이민정책의 역할 분석
- 22대 총선에서 제3지대 정당의 공천과정
- 감사청구제도의 통합 운영에 관한 제언
- 전두환의 박정희 답습 효과
-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flexible work system and work-life balance in public sector : The moderating effect of martial and dual income status
- 바이든 행정부의 통상정책에 대한 한국의 경제안보 외교
- Study on the Promotion of China-Africa Trade : focusing on ICT
- 아세안(ASEAN)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관한 고찰
- 스포츠를 통한 국제개발협력의 질적 고도화를 위한 해외사례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 한국과 세계 제6권 3호 목차
- 진로전담교사의 평생학습 촉진역량 척도개발 및 타당화
- 북한의 국제여성인권규범 이행 의도
- 발달장애 성인자녀를 둔 부모의 평생계획 경험
- 영문 잡지 『코리안 리포지터리』(1892~1898)에 나타난 개항기 한국의 자연과 생태
- 경기도의 구역 분할 논의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