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국제여성인권규범 이행 의도
이용수 74
- 영문명
- Reputation and Personalism : North Korea's Intention to Implement International Women's Norms
- 발행기관
- 한국국회학회
- 저자명
- 류경아(Kyunga Ryu)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세계』제6권 3호, 256~293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제사회에서 심각한 인권침해국으로 비난받고 있는 북한이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철폐에 관한 협약(여성차별철폐협약)을 이행하는 국제적 및 국내적 의도를 분석한다. 북한은 2001년 2월 여성차별철폐협약에 가입했고 이듬해 1차 국가보고서를 제출했다. 2016년 2-4차 통합 국가보고서, 2021년에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성평등 현황을 포함한 자발적국가리뷰를 포함해 제출했다. 국내법과 제도 등을 통해 인권 기록을 개선하는 모습을 보였다. 국제규범이 국가의 국제규범 준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강압과 문화적응의 기제를 평판 개념과 연결하여 북한이 국제여성규범을 이행한 의도를 분석한다. 우선 국제적으로는 북한인권조사위원회의 보고서 제출 이후 북한에 대한 국제적 비난에 대응하고 국제인권규범 이행으로 평판 우산을 만들어 유엔전략계획 등 국제기구와 상호협력을 증진하기 위함이었다. ‘여성’ 규범은 기존 정책을 크게 바꾸지 않고도 국제규범을 실천하고 있다는 표현적 효과로 평판을 얻을 수 있는 분야였다. 국내적으로는 시장화 이후 여성의 지위 변화에 대응하고 자신을 비난하는 국가들을 여성 권리 침해국으로 규정하여 북한을 국제규범을 준수하고 여성 권리를 보호하는 국가로 체제를 정당화하기 위함이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North Korea's intentions to implement International Women Norms, taking into account its significant criticism for human rights violation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North Korea submitted CEDAW Country Reports in 2017, and a Voluntary National Review of SDGs in 2021. North Korea exhibited compliance with international women's norms for several reasons. On an international level, it aimed to build a reputation umbrella by implementing international women's rights norms to mitigate the negative effec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to foster cooperation with organizations like the United Nations. The 'women' norms provided an opportunity to gain reputation by outwardly conforming without significant policy changes. Domestically, it aimed to respond to the evolving status of women after marketization and to secure support from women by portraying countries critical of North Korea as violators of human rights.
목차
Ⅰ. 서론
Ⅱ. 국가들은 왜 국제규범을 지키는가?
Ⅲ. 북한의 여성 권리 관련 국제규범 이행 현황
Ⅳ. 북한의 여성차별철폐협약 규범 이행 의도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광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관광객 친화 공감형 AI 서비스 발전 방안
- 노인복지관 이용 여성노인의 사회적 자본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
- 유아교사의 건강에 대한 소고
-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성격강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유학생 대상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의 변화에 대한 제언
- 국외입양동포 대상 한국어 교육 연구
- 간호학부 교과목 ‘고전과 인성’ 수업 운영 사례 연구
- 청소년의 기후변화 인식이 기후변화 문제해결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영향관계 탐색
- 방상시의 현대적 수용 사례 연구
- 외국인력정책에서 숙련기능인력 제도가 갖는 함의와 쟁점
- 영화 스토리텔링의 8단 구성
- 북한이탈여성의 외상 후 성장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일본 가고시마현(鹿児島県) 소주장(焼酎蔵)의 문화자원화
- 다르덴 형제 영화의 객관적 시점에 의한 시선 연출 연구
- 한국에서 역전이 연구 동향
- 기독교인 자살유가족 어머니의 자녀 사별 경험에 관한 연구
- 20세기 초 조선인 여자 일본유학생들의 도일 실천에 관한 연구
- 일본의 인구구조 변화와 이민정책의 역할 분석
- 22대 총선에서 제3지대 정당의 공천과정
- 감사청구제도의 통합 운영에 관한 제언
- 전두환의 박정희 답습 효과
-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flexible work system and work-life balance in public sector : The moderating effect of martial and dual income status
- 바이든 행정부의 통상정책에 대한 한국의 경제안보 외교
- Study on the Promotion of China-Africa Trade : focusing on ICT
- 아세안(ASEAN)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관한 고찰
- 스포츠를 통한 국제개발협력의 질적 고도화를 위한 해외사례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 한국과 세계 제6권 3호 목차
- 진로전담교사의 평생학습 촉진역량 척도개발 및 타당화
- 북한의 국제여성인권규범 이행 의도
- 발달장애 성인자녀를 둔 부모의 평생계획 경험
- 영문 잡지 『코리안 리포지터리』(1892~1898)에 나타난 개항기 한국의 자연과 생태
- 경기도의 구역 분할 논의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