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 가고시마현(鹿児島県) 소주장(焼酎蔵)의 문화자원화
이용수 67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Process of Cultural Resource of Soju Factory in Kagoshima Prefecture, Japan
- 발행기관
- 한국국회학회
- 저자명
- 서영임(Young Im Seo)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세계』제6권 3호, 475~50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본 가고시마현을 대상으로, 이 지역이 고구마 소주의 대표적인 산지로 자리매김하기까지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검토하고, 지역특산품을 생산하는 공간인 소주 공장의 가치 및 역할과 구체적인 활용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자료와 사회관계망서비스에 공유되는 온라인 자료들을 분석하고, 2024년 1월 가고시마현 소주 공장을 방문하여 관계자들을 면담했다. 연구결과, 고구마 소주는 그 처리법과 제조기술이 부족하여 초기에는 쌀 소주에 비해 맛과 향이 좋지 않았다. 군비 근대화 과정에서 양산되고 지역특산품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끊임없는 연구와 기술개발이 이루어지면서 ‘본격소주’라고 불릴 만큼 사회적으로 그 품질을 인정받게 되었다. 지역의 역사와 문화가 응축된 소주 공장은 산업유산이자 일시적 의례 공간으로 지역 활성화 관점에서 다각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지역의 소주 공장을 순회하는 ‘소주장 순례’는 가고시마현이 소주 산지라는 통합적 이미지를 형성하지만, 각 공장의 역사와 입지, 자본 규모 등에 따라 환대, 해설형태, 전시물, 지역민의 참여 등 활용 정도에 있어 차이가 존재했다. 최근에는 전문가 집단이 협의체를 구성하고 소주 공장과 지역민이 참여하는 형태의 다각적인 프로그램도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국 증류식 소주 산업 관계자들이 거버넌스를 활성화하고, 양조장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process of Kagoshima Prefecture, Japan, to becoming a representative producer of Kagoshima Shochu, and analyzed the socio-cultural value of the soju factory, specific use cases, and its characteristics. I analyzed literature data and online materials and visited the soju factory in Kagoshima Prefecture in January 2024 to meet with officials. Kagoshima Shochu did not taste and smell good in the early days due to a lack of treatment methods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Through constant research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 quality has been improved. Soju factory, which condenses local history and culture, is also being used in various ways from the perspective of regional revitalization. The “Soju factory Pilgrimage” in the form of a tour forms an integrated local image,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use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each factory, but it was similar to emphasize the authenticity of tools such as traditional distillers and jars. Recently, a program in which soju factories and residents participate is also being created. These findings will suggest implications for vitalizing governance and seeking ways to utilize the brewery of Korea.
목차
Ⅰ. 서론
II. 선행연구검토
Ⅲ. 가고시마현 소주산업 전개과정
Ⅳ. 소주장(焼酎蔵)의 문화자원화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광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관광객 친화 공감형 AI 서비스 발전 방안
- 노인복지관 이용 여성노인의 사회적 자본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
- 유아교사의 건강에 대한 소고
-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성격강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유학생 대상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의 변화에 대한 제언
- 국외입양동포 대상 한국어 교육 연구
- 간호학부 교과목 ‘고전과 인성’ 수업 운영 사례 연구
- 청소년의 기후변화 인식이 기후변화 문제해결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영향관계 탐색
- 방상시의 현대적 수용 사례 연구
- 외국인력정책에서 숙련기능인력 제도가 갖는 함의와 쟁점
- 영화 스토리텔링의 8단 구성
- 북한이탈여성의 외상 후 성장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일본 가고시마현(鹿児島県) 소주장(焼酎蔵)의 문화자원화
- 다르덴 형제 영화의 객관적 시점에 의한 시선 연출 연구
- 한국에서 역전이 연구 동향
- 기독교인 자살유가족 어머니의 자녀 사별 경험에 관한 연구
- 20세기 초 조선인 여자 일본유학생들의 도일 실천에 관한 연구
- 일본의 인구구조 변화와 이민정책의 역할 분석
- 22대 총선에서 제3지대 정당의 공천과정
- 감사청구제도의 통합 운영에 관한 제언
- 전두환의 박정희 답습 효과
-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flexible work system and work-life balance in public sector : The moderating effect of martial and dual income status
- 바이든 행정부의 통상정책에 대한 한국의 경제안보 외교
- Study on the Promotion of China-Africa Trade : focusing on ICT
- 아세안(ASEAN)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관한 고찰
- 스포츠를 통한 국제개발협력의 질적 고도화를 위한 해외사례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 한국과 세계 제6권 3호 목차
- 진로전담교사의 평생학습 촉진역량 척도개발 및 타당화
- 북한의 국제여성인권규범 이행 의도
- 발달장애 성인자녀를 둔 부모의 평생계획 경험
- 영문 잡지 『코리안 리포지터리』(1892~1898)에 나타난 개항기 한국의 자연과 생태
- 경기도의 구역 분할 논의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