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Nature and Ecology in Early Modern Korea as Represented in the English-language Magazine, The Korean Repository (1892~1898)
- 발행기관
- 한국국회학회
- 저자명
- 정호경(Ho-Kyung Chung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세계』제6권 3호, 613~64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후위기, 전지구적 팬데믹의 시대에 세계와 인간의 관계가 생태적으로 재구성되어야 한다는 사회·문화적 요구와 학문적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본 논문은 인간을 둘러싼 자연과 생태 환경을 성찰하고 개항기 한국 생태문화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개항을 전후해서 한국에 대한 자연탐사가 증가한 가운데 개항기 한국의 정치, 문화, 역사 전반을 소개했던 『코리안 리포지터리』(1892-1898)는 한국의 자연기행, 지역탐사, 생태 환경, 역사 및 인문지리에 대한 다층적인 학술기사를 소개함으로써 개항기 한국의 자연과 지역을 생태적 관점에서 검토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를 제공했다. 본 논문은 『코리안 리포지터리』의 기사 가운데 개항기 한국의 자연과 생태관련 기사를 전수조사하고 목록화한 후, 개항기 근대적 관점에서 한국의 자연과 생태 환경이 다루어지는 양상을 조망했다. 또한 『코리안 리포지터리』가 국제적 차원에서 한국의 자연과 지역 정보를 생산, 유통하고 자연과 그를 둘러싼 생태 환경 담론을 형성하는데 기여했음을 진단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reflect on the nature and ecological environment surrounding humans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ecological culture during the port opening period. The Korean Repository, Korea's first English-language magazine that introduced Korea's politics, culture, and history, published articles on nature travel, regional exploration, ecological environment during the port opening period, and provided a valuable resources to examine Korea's nature and regions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This study investigates and catalogs all articles related to Korea's nature and ecology among the articles in The Korean Repository, and then examines the aspects in which Korea's nature and ecological environment were treated from a early modern perspective. It is concluded that The Korean Repository contributed to producing and distributing accurate information on Korea's nature and regions at the international level and to the formation of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discourse surrounding nature during opening port period.
목차
I. 머리말
II. 개항 전후 한국의 자연탐사와 지리적 인식
III. 『코리안 리포지터리』 창간호에 소개된 한국의 자연
IV. 『코리안 리포지터리』에 소개된 한국의 생태 환경
V.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광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관광객 친화 공감형 AI 서비스 발전 방안
- 노인복지관 이용 여성노인의 사회적 자본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
- 유아교사의 건강에 대한 소고
-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성격강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유학생 대상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의 변화에 대한 제언
- 국외입양동포 대상 한국어 교육 연구
- 간호학부 교과목 ‘고전과 인성’ 수업 운영 사례 연구
- 청소년의 기후변화 인식이 기후변화 문제해결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영향관계 탐색
- 방상시의 현대적 수용 사례 연구
- 외국인력정책에서 숙련기능인력 제도가 갖는 함의와 쟁점
- 영화 스토리텔링의 8단 구성
- 북한이탈여성의 외상 후 성장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일본 가고시마현(鹿児島県) 소주장(焼酎蔵)의 문화자원화
- 다르덴 형제 영화의 객관적 시점에 의한 시선 연출 연구
- 한국에서 역전이 연구 동향
- 기독교인 자살유가족 어머니의 자녀 사별 경험에 관한 연구
- 20세기 초 조선인 여자 일본유학생들의 도일 실천에 관한 연구
- 일본의 인구구조 변화와 이민정책의 역할 분석
- 22대 총선에서 제3지대 정당의 공천과정
- 감사청구제도의 통합 운영에 관한 제언
- 전두환의 박정희 답습 효과
-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flexible work system and work-life balance in public sector : The moderating effect of martial and dual income status
- 바이든 행정부의 통상정책에 대한 한국의 경제안보 외교
- Study on the Promotion of China-Africa Trade : focusing on ICT
- 아세안(ASEAN)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관한 고찰
- 스포츠를 통한 국제개발협력의 질적 고도화를 위한 해외사례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 한국과 세계 제6권 3호 목차
- 진로전담교사의 평생학습 촉진역량 척도개발 및 타당화
- 북한의 국제여성인권규범 이행 의도
- 발달장애 성인자녀를 둔 부모의 평생계획 경험
- 영문 잡지 『코리안 리포지터리』(1892~1898)에 나타난 개항기 한국의 자연과 생태
- 경기도의 구역 분할 논의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