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국인력정책에서 숙련기능인력 제도가 갖는 함의와 쟁점
이용수 108
- 영문명
- Implications and Issues of Skilled Workforce System in Foreign Human Resources Policy
- 발행기관
- 한국국회학회
- 저자명
- 정현경(Hyunkyoung Jung) 김옥녀(Ock-Nyu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세계』제6권 3호, 295~32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숙련기능인력(E-7-4) 점수제로 체류자격을 변경한 비전문 취업(E-9) 외국인근로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외국인력정책에서 숙련기능인력 제도가 지닌 의미와 쟁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숙련기능인력의 혁신적 확대 방안으로 인해 점수제 조건이 완화되고 신청이 쉬워지며 진입 문턱이 낮아져서 비전문 취업(E-9) 외국인근로자들의 관심이 증폭되고 한국에서의 장기체류의 꿈을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숙련기능인력 자격 취득으로 직무기술의 습득과 역량 향상을 희망하지만, 오히려 고용허가제로 체류할 때 받던 다양한 교육지원에서 외면당하는 것을 걱정하고, 무엇보다 모든 것을 스스로 해결해야 하는 현실에 두려워하였다. 그럼에도 한국 사회에서 자신의 존재가 향상된 자부심을 느끼고, 반복 갱신, 가족 초청 및 거주 비자(F-2)로의 변경까지 꿈꾸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통합 정책으로 연계되는 체류자격 확대는 양적인 부분만큼 질적인 부분을 함께 고민해야 함을 알 수 있으며, 우리나라의 외국인력정책과 이민정책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and issues of skilled workforce system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non-professional employment (E-9) foreign workers who have changed their status of residence to skilled workforce (E-7-4) score syste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int system conditions are relaxed and the entry threshold is lowered, so that the dream of long-term stay in Korea can be realized. Second, they hoped to acquire job skills and improve their competencies, but they were worried about being ignored by various educational supports and were afraid of the reality that they had to solve everything on their own. Nevertheless, it has been shown that they feel proud of their presence in Korean society and dream of repeated renewal, family invitation and change to residence visa.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xpansion of the status of residence, which is linked to the social integration policy, should be concerned with the qualitative part as much as the quantitative part,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the foreign manpower policy and immigration policy in Korea.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IV.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광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관광객 친화 공감형 AI 서비스 발전 방안
- 노인복지관 이용 여성노인의 사회적 자본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
- 유아교사의 건강에 대한 소고
-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성격강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유학생 대상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의 변화에 대한 제언
- 국외입양동포 대상 한국어 교육 연구
- 간호학부 교과목 ‘고전과 인성’ 수업 운영 사례 연구
- 청소년의 기후변화 인식이 기후변화 문제해결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영향관계 탐색
- 방상시의 현대적 수용 사례 연구
- 외국인력정책에서 숙련기능인력 제도가 갖는 함의와 쟁점
- 영화 스토리텔링의 8단 구성
- 북한이탈여성의 외상 후 성장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일본 가고시마현(鹿児島県) 소주장(焼酎蔵)의 문화자원화
- 다르덴 형제 영화의 객관적 시점에 의한 시선 연출 연구
- 한국에서 역전이 연구 동향
- 기독교인 자살유가족 어머니의 자녀 사별 경험에 관한 연구
- 20세기 초 조선인 여자 일본유학생들의 도일 실천에 관한 연구
- 일본의 인구구조 변화와 이민정책의 역할 분석
- 22대 총선에서 제3지대 정당의 공천과정
- 감사청구제도의 통합 운영에 관한 제언
- 전두환의 박정희 답습 효과
-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flexible work system and work-life balance in public sector : The moderating effect of martial and dual income status
- 바이든 행정부의 통상정책에 대한 한국의 경제안보 외교
- Study on the Promotion of China-Africa Trade : focusing on ICT
- 아세안(ASEAN)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관한 고찰
- 스포츠를 통한 국제개발협력의 질적 고도화를 위한 해외사례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 한국과 세계 제6권 3호 목차
- 진로전담교사의 평생학습 촉진역량 척도개발 및 타당화
- 북한의 국제여성인권규범 이행 의도
- 발달장애 성인자녀를 둔 부모의 평생계획 경험
- 영문 잡지 『코리안 리포지터리』(1892~1898)에 나타난 개항기 한국의 자연과 생태
- 경기도의 구역 분할 논의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더보기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Impact of Sectoral Aid on Economic Growth in Nepal
- 한국과 국제사회 제8권 제6호 목차
- 레이 올덴버그의 제3의 공간 이론에 의한 도시 문화 공간 사례 분석 : 춘천시 '도시가 살롱' 사업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