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민참여 측정도구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이용수 116
- 영문명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Civic Engagement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박진서(Jinseo Park) 홍아정(Ah-Jeong Hong)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2권 제3호, 153~18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시민참여 활동은 시민의 참여로 더 나은 결과가 나올 것이라는 정책적 기대와 효용에서 출발한다. 시민의 직접적인 참여도에 따라 의무적 시민(dutiful citizen)에서 참여적 시민(engaged citizen)으로 시민의 지위에도 차등이 생긴다. 주인의식 함양과 더불어 적극적인 사회참여 등 시민력에 관한 측정은 미래사회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하고 민주적 거버넌스와 경제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다. 시민참여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사회적 자본 연구가 시작된 1994년부터 현재까지의 시민참여 측정도구 문헌을 수집하고 특성을 파악하고자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s)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시민참여는 사회가 요구하는 시민의 역할과 역량의 변화와 더불어 참여영역도 확장됐으나, 특정 영역 차원에 한정하여 측정되고 있었다. 측정학적 분석결과 대부분의 측정도구가 매우 낮은 타당도와 신뢰도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공동체에서 활동하고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시민참여 수준을 측정할 경우 측정학적 근거가 비교적 높은 측정도구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변화하는 시민성의 개념과 시민참여의 특성을 반영하고, 신뢰도와 타당도 근거가 우수한 시민참여 측정도구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Civic engagement activities are driven by policy expectations and utilities that focus citizen participation with the idea that they will lead to better outcomes. Depending on the level of direct participation, citizens can be categorized from dutiful to engaged citizens. Measures of citizenship, such as fostering a sense of ownership and active social participation, will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future societies and have a positive impact on democratic governance and economic development. A systematic review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o collect and characterize the literature on civic engagement measurement tools from 1994, when social capital research began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ivic engagement, to the present. The results showed that civic engagement has expanded along with the changing roles and capacities of citizens required by society at large. Measurement analyses revealed that most instruments have very low level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When measuring civic engagement among adults who are active in their communities, there is a need to use instruments with a stronger measurement basis.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civic engagement instrument that reflects the changing concept of citizenship and the nature of civic engagement and has good reliability and validity evidenc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열린교육연구 제32권 제3호 목차
- 심리·사회적 학교환경 만족도와 진로성숙도 관계에서 또래애착과 자아존중감의 이중매개효과
- 생성형 인공지능 챗봇을 활용한 질의응답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차이
- CAMPUS Asia 확장사업에서 문화적 친밀성 기반 참여동기가 교육 만족도를 매개로 범아시아 공동체 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 다변량 잠재성장모델을 활용하여 부모 지원이 자녀의 자아개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마이크로디그리에 대한 학습자 수요 분석
-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이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세계시민의식과 문제해결력 및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영향
- 시민참여 측정도구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 프로젝트 기반 수업에서 문제해결력과 정의적 성취 간 관계
- 개념기반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 저소득층 장학금수혜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
- Q방법론을 활용한 교육대학원 상담전공 학생의 진학동기 유형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다문화 이해 교육의 철학적 근거 탐색: 딜타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