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프로젝트 기반 수업에서 문제해결력과 정의적 성취 간 관계
이용수 79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Affective Achievement in Project-based Learning: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for Group Work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최지연(Jiyoun Choi) 강서울(Seoul Kang)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2권 제3호, 225~24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진행하는 마이스터고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문제해결력, 협력적 자기효능감, 정의적 성취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문제해결력과 정의적 성취 관계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어떠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였다. 마이스터고 재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SPSS, Process Macro Model 4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종속변인인 정의적 성취와 독립변인인 문제해결력(문제해결자신감, 접근회피스타일), 매개변인인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문제해결력과 정의적 성취 사이에서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력의 하위 요인인 문제해결자신감과 접근회피스타일 역시 같은 결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위해서는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으며, 그에 따른 교수 방법론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problem-solving abilities,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affective achievements and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for group work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affective achievements targeting Meister high schools which conduct project-based learning. Analyzing 160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using SPSS and Process Macro Model 4, the result shows that the dependent variable, which is affective achievement, the independent variable, which is the problem-solving ability (problem-solving confidence and approach-avoidance style), and the mediating variable, which is self-efficacy for group work,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addition, self-efficacy for group work is completely mediated between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affective achievement, and sub factors of problem-solving abilities which are problem-solving confidence and approach-avoidance style are as well. Based on the results, it is found that self-efficacy for group work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successful project-based learning. And then, implications from the teaching methodological side are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열린교육연구 제32권 제3호 목차
- 심리·사회적 학교환경 만족도와 진로성숙도 관계에서 또래애착과 자아존중감의 이중매개효과
- 생성형 인공지능 챗봇을 활용한 질의응답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차이
- CAMPUS Asia 확장사업에서 문화적 친밀성 기반 참여동기가 교육 만족도를 매개로 범아시아 공동체 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 다변량 잠재성장모델을 활용하여 부모 지원이 자녀의 자아개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마이크로디그리에 대한 학습자 수요 분석
-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이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세계시민의식과 문제해결력 및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영향
- 시민참여 측정도구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 프로젝트 기반 수업에서 문제해결력과 정의적 성취 간 관계
- 개념기반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 저소득층 장학금수혜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
- Q방법론을 활용한 교육대학원 상담전공 학생의 진학동기 유형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