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성형 인공지능 챗봇을 활용한 질의응답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차이
이용수 132
- 영문명
- Differences in Perception on Question-and-Answer Interaction Utiliz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s for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한예원(Yewon Han) 황서연(SuhYeon Hwang) 김민지(Minji Kim)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2권 제3호, 93~11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생성형 인공지능 챗봇을 활용하여 질의응답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110명을 대상으로 교수자와 ChatGPT 간의 질의응답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질의응답에 대한 유용성과 신뢰도는 교수자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사용편의성은 ChatGPT가 더 높았다. 평소에 ChatGPT를 사용하지 않는 집단에서는 사용편의성을 제외한 나머지 유용성, 신뢰도, 만족도는 모두 교수자가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에 사용하는 집단에서는 ChatGPT의 사용편의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평소에 자주 ChatGPT에게 질문하는 집단과 교수자에게 질문하는 집단 모두 신뢰도는 교수자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언어정보는 모두 ChatGPT보다 교수자에게 질문하겠다는 답변이 더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교수자에게 질문을 하지 않는 집단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셋째, 평소 교수자에게 질문을 하지 않는 집단에서만 교수자의 유용성이 더 높았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질의응답 교수학습도구로써 ChatGPT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o effectively conduct question-and-answer sessions using a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in the context of educational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first examine the learners' perception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erception differences among 110 university students regarding question-and-answer interactions with instructors and ChatGPT.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he utility and trustworthiness of question-and-answer interactions were perceived higher for instructors, while ChatGPT demonstrated higher usability. Second, regardless of whether the questions were directed to ChatGPT or instructors, trustworthiness was consistently higher for instructors. Responses indicating a preference for asking instructors for language-related information were more prevalent than those favoring ChatGPT. This trend persisted even among the group that did not frequently ask questions to instructors. Third, only in the group that did not frequently ask questions to instructors scored higher in utility. This suggests that the perceived utility of instructors is more prominent in the group that refrains from posing questions to instructors. This study shows significance in providing foundational data on how to utilize ChatGPT as an effective question-and-answer instructional tool, particularly in the realm of educational technolog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열린교육연구 제32권 제3호 목차
- 심리·사회적 학교환경 만족도와 진로성숙도 관계에서 또래애착과 자아존중감의 이중매개효과
- 생성형 인공지능 챗봇을 활용한 질의응답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차이
- CAMPUS Asia 확장사업에서 문화적 친밀성 기반 참여동기가 교육 만족도를 매개로 범아시아 공동체 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 다변량 잠재성장모델을 활용하여 부모 지원이 자녀의 자아개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마이크로디그리에 대한 학습자 수요 분석
-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이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세계시민의식과 문제해결력 및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영향
- 시민참여 측정도구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 프로젝트 기반 수업에서 문제해결력과 정의적 성취 간 관계
- 개념기반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 저소득층 장학금수혜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
- Q방법론을 활용한 교육대학원 상담전공 학생의 진학동기 유형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