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AMPUS Asia 확장사업에서 문화적 친밀성 기반 참여동기가 교육 만족도를 매개로 범아시아 공동체 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71
- 영문명
- The Impact of Cultural Affinity-based Program Participation Motivations on Pan-Asian Sense of Community, Mediated by Educational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이경(Eegyeong Kim) 조은샘(Eunsam Cho)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2권 제3호, 111~13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CAMPUS Asia 확장사업은 2010년 한국, 일본, 중국 3국 정상회의의 합의에 따라 한국, 일본, 중국 간 학생교류 프로그램으로 시작된 이래, 2021년에 ASEAN 국가를 포함하는 확장사업으로 전환되면서 동아시아 범위를 넘어 범아시아 고등교육 공동체 형성을 지향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CAMPUS Asia 확장사업 전환 이후 범아시아 공동체 의식 형성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문화적 친밀성이 중요하다는 가정하에, 학생들의 문화적 친밀성 기반 참여동기가 범아시아공동체 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교육만족도가 미치는 매개 효과를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21년에 9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CAMPUS Asia 확장 프로그램에 참여한 국내ㆍ외 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 데이터 중 157명의 응답 자료를 토대로 기술통계, 단순 회귀, 매개효과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문화적 친밀성에 기반한 참여 동기는 범아시아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치고, 교육만족도는 문화적 친밀성 기반 참여동기와 범아시아 공동체 의식 간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CAMPUS Asia 확장사업 정책목표 달성을 위한 학생 선발 및 프로그램 운영 방식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Initiated in 2010 as a student exchange initiative between Korea, Japan, and China under the auspices of the their respective leaders, the CAMPUS Asia project was expanded in 2021 to include ASEAN countries, with the objective of cultivating a pan-Asian higher education community that extends beyond East Asia.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students’ cultural affinity-based motivations for participation on the development of a pan-Asian community identity, and explores the role of educational satisfaction as a mediating variable. Utilizing descriptive statistics, simple regression, and mediation analysis techniques, this study analyzes survey data collected from 157 participants of the CAMPUS Asia Plus program, spanning from September 2021 to December 2022. The findings reveal that cultural affinity-based motivations significantly contribute to students’ perceptions of a pan-Asian community. Additionally,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ffinity-based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the sense of a pan-Asian community. These results offer critical insights into student selection and program management strategies that could enhance the efficacy of the CAMPUS Asia Plus project in achieving its educational and policy objectiv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열린교육연구 제32권 제3호 목차
- 심리·사회적 학교환경 만족도와 진로성숙도 관계에서 또래애착과 자아존중감의 이중매개효과
- 생성형 인공지능 챗봇을 활용한 질의응답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차이
- CAMPUS Asia 확장사업에서 문화적 친밀성 기반 참여동기가 교육 만족도를 매개로 범아시아 공동체 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 다변량 잠재성장모델을 활용하여 부모 지원이 자녀의 자아개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마이크로디그리에 대한 학습자 수요 분석
-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이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세계시민의식과 문제해결력 및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영향
- 시민참여 측정도구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 프로젝트 기반 수업에서 문제해결력과 정의적 성취 간 관계
- 개념기반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 저소득층 장학금수혜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
- Q방법론을 활용한 교육대학원 상담전공 학생의 진학동기 유형분석